사회 사회일반

천진난만·진지함… 자연인 송강호와 많이 닮았죠

영화 '관상'서 완벽 변신


어떤 배역을 맡든 그럴 듯해 보이는 배우가 있고 자연스러운 배우가 있다. 배우 송강호는 후자 쪽이다. 그는 어떤 배역이든 자연스럽게 송강호라는 그릇에 담아 둥근 그릇이면 둥글게, 각진 그릇이면 각지게, 그러나 송강호라는 그릇임은 분명한 그런 연기를 보여준다. 영화 '관상'에서는 '천재 관상가 김내경'으로 변신한 그를 3일 서울 종로 코리아나호텔에서 만났다.

송강호는 내경이 자연인 송강호에 가장 가까운 인물이라고 설명했다. "파란만장하고 희로애락을 가장 정확하게 그리고 많은 부분에서 표현하는 중심인물이에요. 천진난만함부터 진지한 삶에 대한 태도, 그리고 비극적인 상황에서 안타까움에 대한 철저함 이런 것들이 자연인 송강호와 많이 닮아 있죠."

계유정난이 배경인 이 영화는 정치와 권력, 이에 순응하는 처세술 등 진지함을 담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극 초반 송강호와 조정석의 코믹 콤비는 송강호의 특기인 빵 터지는 웃음을 제대로 터트려 애초에 없었던 분위기를 만들어냈다. "드라마가 강해서 시나리오 자체는 굉장히 무거웠어요. 그래서 경쾌한 스타트를 만들기 위해서 굉장히 고통스러운 작업을 했어요. 원래 코미디 구조였다면 저와 조정석의 코미디가 튀지 않았겠지만 경쾌한 사극을 만들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었어요."


사극이 처음인 그에게 사극 대사가 어렵지는 않았냐고 묻자 "사극이 영어도 아니고 불란서어도 아니고 말에 대한 어려움은 없었다"고 답해 기자들에게 웃음을 줬다. 그는 이어 "새벽 3시 영하 17도였던 날 용인에서 한복만 입고 야외촬영을 했는데 약간 어지러웠다"며 사극 촬영의 어려움에 대해서도 털어놓았다.

관련기사



좀 더 개인적인 운명에 대해 물었다. 그는 "경험과 역경을 거친 다음에 연륜이 생기고 또 그 결과가 다른데 이것을 가장 잘 이용할 수 있는 직업이 배우인 것 같다"며 "배우라는 직업은 한번의 작품으로 승부가 결정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