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건조한 봄철 피부 보습제로 말끔히


봄이 성큼 다가오고 있다. 일본 원전의 방사능을 걱정하기보다는 건조한 피부와 꽃가루나 황사에 의한 피부 트러블, 강해지는 자외선에 의한 기미나 주근깨, 피지 증가를 조절해야 한다. 봄철 피부는 건조하다. 봄바람도 겨울바람 못지않게 피부를 건조하게 만든다. 기온이 올라가서 피부가 수분을 빼앗기고 꽃샘추위 등 변덕스러운 날씨로 신체 리듬이 깨져 피부에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목욕은 샤워 정도로 간단히 끝내고 얼굴과 몸에 보습제를 꼼꼼히 발라 각질층의 수분 증발을 막아야 한다. 봄볕의 자외선은 피부를 놀라게 한다. 겨울 내 가려진 피부에 봄볕은 피부에 갑작스러운 변화를 유발해 피부색이 어두워지고 기미나 주근깨가 더 검게 착색된다. 따라서 외출 전에는 자외선 차단제를 꼭 발라야 한다. 황사와 꽃가루는 봄철 불청객이다. 황사나 꽃가루는 각종 피부 질환을 유발한다. 황사의 주성분은 규소ㆍ알루미늄ㆍ칼륨ㆍ철ㆍ마그네슘 등의 산화물이다. 최근에 황사에 납ㆍ카드뮴 등의 중금속, 발암 물질 등 많은 유해 오염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호흡기 질환과 안질환, 피부 질환이 잘 생긴다. 황사가 오면 가능하면 외출을 삼가고, 외출시 옷이나 마스크로 인체를 보호하고 외출 후 집에 들어가기 전에는 집 밖에서 옷과 머리를 털고 집 안에서 바로 옷을 벗어 테라스에 널고, 샤워와 손발을 씻는 것은 물론 호흡의 통로가 되는 콧속도 씻어주고 양치질도 해야 한다. 그리고 렌즈를 끼는 경우는 특히 눈도 식염수로 씻어야 한다. 황사 기간에 내리는 산성비는 다량의 중금속도 많이 함유돼 있기 때문에 무조건 비를 맞지 않아야 한다. 우리의 호흡기는 습기가 있어야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계속 제거되므로 만일 실내가 건조하다면 가습기를 틀고, 아이들에게 물을 자주 먹이는 것이 좋다. 황사는 특히 면역성이 약한 아이나 노인에게 호흡기 질환이나 안질환, 피부 질환을 유발하기 때문에 특히 잘 보호해 주어야 한다. 봄은 꽃가루가 날리고 새나 동물이 일제히 털갈이를 해 가느다란 털이 공중에 떠다니고 겨울철에 비해 온도와 습도가 높아지면서 진드기가 번식하는 계절이므로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이 발생하기 쉽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는 체질적으로 알레르기를 잘 일으켜 먼지, 음식물, 꽃가루, 동물 털 등 외부요인에 의해 악화되는 경우가 흔하다. 평소 꽃가루 등 특정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나 아토피 피부염 등 피부질환이 있는 사람은 몸을 청결히 하면서 보습제를 하루 두 번 이상 발라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