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총리실, 과학벨트·LH 본사 이전 결정도 맡을 듯

세종시 이어 신공항 백지화도 사실상 총대<br>"정치 문제 너무 쏠린다" 지적도

국무총리실이 사실상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에 총대를 메면서 뒷말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초 세종시 수정안의 총대를 멘 데 이어 굵직한 이슈로는 벌써 두 번째다. 앞으로 과학비즈니스벨트 건설을 위한 후보지 선정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본사이전 문제도 총리실에서 결정할 가능성이 높다. 워낙 중대한 사안들이라서 총리실로는 부담이 너무 큰 셈이다. 이에 대해 총리실 내에서는 정치적으로 매우 민감한 이슈를 갈무리하는 데 대해 "당연한 역할 아니냐"는 입장과 함께 "정치적 문제들이 너무 총리실로 쏠린다"는 비판도 함께 나오고 있다. 워낙 정치적으로 민감한 이슈여서인지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발표를 앞두고 총리실은 하루종일 긴장감이 감돌았다. 김황식 총리는 이날 예정됐던 국립과천과학관 시찰 등의 일정을 모두 취소하고 오전에 긴급 간부회의를 소집, 평가위원회의 결과 발표 이후의 대응책을 논의하는 등 긴박하게 움직였다. 결과를 받아보기 전까지 김 총리는 밀양과 가덕도 모두 평가 결과 100점 만점에서 50점에 미달할 경우, 한쪽만 50점을 넘을 경우 등 상정 가능한 시나리오별로 정부의 대응방안을 검토하기도 했다. 김 총리는 이날 오후2시께 평가위원회의 심사 결과를 보고받은 뒤 2시30분부터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 등이 참석하는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정부의 최종 방침을 도출했다. 이후 오후3시30분~4시 청와대를 찾아 이명박 대통령에게 회의내용을 보고한 뒤 오후5시 정부 중앙청사에서 이를 공식 발표했다. 총리실은 신공항 유치를 둘러싸고 지역 간 갈등이 극에 달했던 만큼 정부의 결정발표 이후의 민심수습책을 마련하기 위한 관계부처와의 조율에도 집중했다. 하지만 해당 지역의 민심이 워낙 좋지 않아 마땅한 수습대책을 찾지 못해 곤혹스러워했다는 후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