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성인 7명중 1명 "한번쯤 자살 고민"

상당수 20대 중반에 첫시도… 여성이 남성보다 50% 많아


우리나라 성인 7명 중 1명(15.2%)은 평생 한 번 이상 자살을 심각하게 고민했으며 100명 중 3명(3.2%)이 실제 자살을 시도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첫 자살 시도연령이 20대 중반으로 나타나 젊은 층의 자살우려가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조맹제 서울대병원 정신과 교수와 전홍진 삼성서울병원 교수는 전국 12개 우울증센터에서 일부 우울증환자를 포함한 18세 이상 성인 남녀 6,510명(남 3,281명ㆍ여 3,229명)을 대상으로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자살률이 인구 10만명당 21.5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한국인의 자살에 대한 첫 대규모 역학조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자살을 시도한 사람 중 계획된 자살이 63%인 반면 충동적인 경우가 37%였다. 계획자살시도자와 충동자살시도자 모두 가족갈등이 36.1%, 38.7%로 가장 많았으며 경제적 문제, 별거 및 이혼, 질병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계획자살군과 충동자살군은 자살방법에서도 큰 차이가 있었다. 계획자살군의 52.2%가 수면제ㆍ진정제 등의 약물을 주로 사용한 데 비해 충동군 중 가장 많은 34.2%는 농약과 같은 화공약품을 사용했다. 성별로는 자살 계획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2배가량 많았으며 자살을 시도한 비율도 여성이 남성보다 약 50% 정도 높았다. 자살을 시도한 사람들은 자살에 대한 고민 후 평균 1~2년 뒤에 시도했으며 처음으로 자살을 시도한 연령은 계획자살군이 24세, 충동자살군이 26세로 각각 분석됐다. 자살시도는 계획된 자살군이 약 2회로 충동자살군 1.4회보다 높아 실제 자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만한 것은 자살시도자 중 우울증과 알코올 오남용 등의 정신적 문제를 가진 경우가 전체의 절반 이상이었다. 특히 이 같은 유병률은 충동자살군(72.0%)이 계획자살군(59.7%)보다 높았다. 이 중에서도 기분변화가 심각한 양극성 장애가 있을 때에는 충동적인 자살 시도의 위험이 3.5배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교수는 "대부분 자살시도자는 자살시도를 하기 1~2년 전에 이미 자살에 대한 심각한 고민을 시작한다"면서 "따라서 기존부터 갖고 있던 정신적 취약성과 기분장애의 문제에 주의를 기울이고 자살을 고민하는 사람에게 직접 물어보고 대화하는 것도 자살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결과는 세계기분장애학회 공식 학회지(Journal of Affective Disorder) 최신호에 발표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