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日도 '한국식 원전수주' 나섰다

하토야마, 베트남에 친서등 팔 걷어… 한·미등과 경쟁 치열해질듯



전세계에서 원자력발전소 건설 프로젝트가 붐을 이루는 가운데 일본도 원전 건설사업을 따내기 위해 한국ㆍ미국 등처럼 국가 지도자가 직접 팔을 걷어붙였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은 28일 하토야마 유키오(鳩山由紀夫ㆍ사진) 총리가 일본 기업들이 총 1조엔(약 13조원) 규모의 베트남 원전 건설사업을 수주하기 위해 경쟁하는 데 국가적 차원의 지원으로 응우옌떤중 베트남 총리에게 1일 친서를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일본 언론들은 하토야마 총리는 전날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히고 친서에 대한 베트남의 반응에 따라 총리 간 전화통화나 특사 파견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토야마 총리는 친서에서"일본의 원전 기술을 원활하게 이전하기 위한 양자 간 협정 체결 논의를 최대한 빨리 시작해야 한다"고 베트남에 촉구할 계획이다. 또한 그는"일본 정부는 이번 원전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일본 기업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라며 "정부는 민관 협조체제를 구축해 도쿄(東京)전력, 간사이(關西)전력 등과 합작회사를 설립해 해외 원전 프로젝트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실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은 베트남 남부 지역에 원전 2기를 짓는 7,000억엔 규모의 2차 공사를 따내기 위한사업을 직접 겨냥하고 있다. 소식통에 따르면 1차 공사는 러시아 컨소시엄이 사실상 수주했으며 일본은 2차 공사에서 러시아와 프랑스 기업을 제치는 것을 우선 목표로 삼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일본 정부가 원전 수주 지원에 나서게 된 것은 최근 한국과 러시아 등에 잇달아 패배한 탓이 크다"면서"하토야마 총리는 베트남 원전 수주에 정부의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은 지난해 말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의 원전 프로젝트에서 한국에 고배를 마셨으며 베트남의 원전 1차 공사에서도 러시아에 밀렸다. 한편 전세계 원전시장은 미국이 30년 만에 새로운 원전 건설계획을 발표한데다 아시아 신흥국가들도 이에 가세하고 있어 큰 활기를 띠고 있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지난달 조지아주(州)에 건설되는 새 원자력 발전소에 정부가 80억달러 규모의 대출보증을 시행할 것이라는 계획을 직접 발표했다. 미 정부는 이에 앞서 미국 내 원전 건설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의 대출보증 지원 규모를 기존의 3배인 544억달러로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현재 104개의 원전을 가동하는 세계 최대 원자력발전국인 미국이 다시 원전 건설에 박차를 가하면 전세계 원전 시장은 새로운 전성기를 맞을 수 있다고 분석됐다. 동남아시아와 중동 국가들도 원전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UAE와 요르단은 오는 2017년 첫 원전 가동을 계획하고 있고 베트남과 태국은 2020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2025년까지 전세계에서 총 24조엔 규모의 원전 건설사업이 예정돼 있으며 일본ㆍ프랑스ㆍ러시아ㆍ한국ㆍ미국 등이 수주를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일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