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베트남 '구제금융 불가피론' 확산] 5월 물가상승률 25% '살인적'

16년만에 최고치… 금리도 상향 불구 IMF등선 "미흡"<br>자본주의 신생국으로 대응수단도 많지않아



[베트남 '구제금융 불가피론' 확산] 5월 물가상승률 25% '살인적' 16년만에 최고치… 금리도 상향 불구 IMF등선 "미흡"자본주의 신생국으로 대응수단도 많지않아 김희원 기자 heewk@sed.co.kr 살인적인 물가와 무역적자 확대로 베트남 경제위기설이 증폭되고 있다. ‘자본주의 신생국’인 베트남 정부 입장에서 볼 때 이를 적절히 대응해 갈 정책적 수단도 그리 많지 않다. 베트남 증시의 비나 지수는 27개월 이래 최저를 기록하고 있으며, 지난 4월 29일 이후 하루도 빠짐없이 하락했다. 베트남이 지난 3월 말 양대 증시의 하루 등락 폭을 1~2% 내외로 제한했지만, 주가 하락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마크 매튜 메릴린치증권 주식 전략가는 “베트남 증시가 다시 70% 가량 하락하지 못할 아무 이유가 없다”며 "적어도 올해 내 증시 반등은 어려울 것"이라고 단언했다. 베트남의 외환보유액은 지난해말 기준 200억 달러 규모이며 단기외채는 20억 달러 수준으로 외환위기와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 그러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달 작년 대비 25.2% 오르며 1992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어 HSBC은행에 이어 현지 펀드 매니저들까지도 베트남의 인플레이션율은 앞으로 30%에 달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지난해 3월 비나 지수는 1,170포인트를 넘어서는 등 베트남은 글로벌 유동성 확대에 힘입어 고성장을 구가해 왔다. 최근 베트남 정부가 올해 경제성장률은 7.5%로 하향 조정했지만 여전히 동남아시아 국가의 성장률 중 높은 수준이다. 이 같은 경제성장은 부동산과 증시의 팽창을 가져왔지만 그 결과 발생하는 인플레이션과 경상수지 적자의 통제에는 못 미쳤다는 게 현지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특히 베트남은 자본주의 경험이 길지 않아 시스템적 부실화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금리 정책도 ‘초기 인플레 잡기’에 실패했다는 평가다. 베트남 정부는 8.75%로 유지해 온 기준금리를 지난 5월 19일에야 12%로 상향 조정했다. 그러나 국제통화기금(IMF)을 비롯한 국제 금융기관들은 시중 금리가 20%를 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신용평가기관인 피치는 경제 둔화를 막기 위해 기준 금리가 25%인 인플레이션 수치보다 높은 수준이 돼야 한다고 밝힌바 있다. 베트남 정부가 외환위기 가능성을 불식시키려면 과도한 무역수지 적자폭을 줄이고 통화가치 역시 대폭 절하해야 하지만 이마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물가 상승률이 25%를 넘는 데다, 유가 역시 고공행진 중이어서 통화가치를 급격히 절하할 경우 국내 물가는 더욱 크게 상승할 수 있다. 스탠다드앤푸어스(S&P), 무디스, 피치 등 3대 국제신용평가 기관은 지난달 말 이후 베트남의 신용등급 전망을 모두 ‘부정적’으로 모두 하향조정했다. 이는 근시일 내에 신용등급이 하향 조정될 가능성을 내포한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베트남 투자자들이 자국 통화인 동화 자산을 매각하고 달러와 금을 대거 매입할 가능성이 크며, 이 경우 베트남 경제가 큰 위협에 처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