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北 “폐연료봉 재처리 작업중”

북한 외무성 대변인이 18일 “폐연료봉들에 대한 재처리 작업이 마지막 단계에서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밝혀 파문이 일고 있다. 특히 이날 북한의 발언은 다음 주 열리는 북ㆍ미ㆍ중 3자 회담을 앞두고 미국 압박용으로 보여 부정적인 회담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외무성 대변인은 “이라크전은 국가의 안전과 민족의 자주권을 수호하기 위해서는 오직 강력한 물리적 억제력이 있어야 한다는 교훈을 주었다”고 주장, 이번 핵 재처리가 자위권 강화에 목적이 있음을 강력 시사했다. 그러나 북한 대변인은 “지난 3월초에 미국을 비롯한 유관국들에 중간통보를 했다”며 미국에 사전 통보했음을 확인, 미국이 회담을 거부하는 사태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이와 관련, 정부 고위 당국자는 “북한이 3월 중 한성렬 유엔 주재 차석대사를 통해 코리아소사이어티 커리어 부소장에게 핵 재처리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또 다른 정부 당국자는 “북측의 이날 언급이 플루토늄 추출을 의미하는 것인지는 좀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회담을 앞두고 미국을 압박하기 위해 전략적 모호성을 취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외무성 대변인은 또 “이번 회담에서 중국측은 장소국으로서 해당한 역할을 하고 핵문제의 해결과 관련한 본질적인 문제들은 조미 쌍방 사이에 논의하게 된다”고 밝혀 이번 회담이 3자 회담이 아닌 양자 회담임을 못박았다. 한편 도널드 럼스펠드 미 국방장관은 17일 베이징 3자 회담과 관련, 미국이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막기위해 북한에 지불할 대가는 없다고 밝혀 3자 회담이 순탄치 만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최윤석기자 yoep@sed.co.kr>

관련기사



최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