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경기 살리려다 금융자산가만 좋은일 시켰네

양적완화로 주가 올랐지만<br>중산층 집값은 크게 떨어져<br>미 소득격차 100년만에 최고

미국이 경기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시행한 양적완화 정책이 소득 불균형을 키웠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양적완화로 풀린 돈이 금융자산 가격을 끌어올리며 소득 격차를 벌려 놨다는 것이다.

임마누엘 사에즈 UC 버글리대 교수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미국 상위 10%가 전체 가계 소득의 48.2%를 가져갔다"며 "이 같은 소득 격차는 1913년 이후 최고 수준"이라고 밝혔다.

소득 격차가 커진 주원인은 주가 상승이다. 미국 증시의 시가총액은 2009년 6월 6조 달러에서 2011년에 17조 달러로 3배 가까이 늘었다.


특히 올 들어 미국 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배당과 양도차익 등으로 금융자산가들의 소득은 더 늘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관련기사



반면 대다수 미국 중산층이 보유하고 있었던 주택가격이 그 사이 크게 하락해 국민 평균 소득은 금융위기 이후 정체되고 있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에 따르면 금융위기가 발발한 2008년 미국의 연평균 소득은 5만4,300달러로 2004년 대비 3.1% 증가했으나, 2008년 이후 2012년까지 소득 상승률은 평균 1.3%에 그쳤다.

재닛 옐런 차기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도 지난달 의회인사청문회에서 양적완화로 소득불균형이 심화됐다는 점을 인정했다. 그는 "상위 10%, 그중에서도 상위 1%에게 미국 전체소득 중 과도한 비중이 집중되고 있다"며 "소득 불균형은 심각한 사회문제이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교육, 정부지출 확대 등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소득불균형 확대와 계층 이동 기회 축소는 전 세계적 현상"이라면서도 "이것이 미국사회에 근본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라고 강조했다.

이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