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교육청 "중복지원 땐 입학취소" 경고에도 눈 하나 깜짝않는 유치원

학부모 커뮤니티에 편법 공개

"되레 지원안한 아이만 손해" 호소도

서울 지역 2015학년도 유치원 원아모집을 두고 서울 교육청이 '중복지원 시 입학취소' 등 강경방침을 밝혔지만, 일부 유치원들은 오히려 중복지원을 공개적으로 부추기고 있어 영이 서지 않는 모습이다.


7일 유치원에 입학할 원아를 둔 학부모와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 따르면 일부 유치원에서는 "'정보제공 동의서'에 사인을 하지 않으면 중복 지원으로 처리가 되지 않는다", "같은 군 내에서도 1순위, 2순위 두 곳에 지원하는 것은 중복 지원으로 보지 않는다" 등 중복지원을 유도하기 위한 편법들을 무차별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노원구의 학부모들이 이용하는 한 육아 커뮤니티에는 학부모 A씨가 "선착순인 곳은 2순위라서 일단 넣었고 추첨하는 곳이 1순위라서 일단 추첨하러 가는데 그럼 중복지원 아닌가요"라고 질문하며 "유치원에 전화해보니 원장이 신경쓰지 말고 지원하래서 일단 추첨하러 간다"고 글을 올렸다. 이에 학부모 B씨도 "주변에 중복지원자는 당첨되고 하나씩 지원한 사람들은 떨어졌다"며 "중복지원한 사람이 대다수인데 어떻게 교육청에서 잡아낼 수 있겠냐"고 했다. 다른 학부모도 "주변에 중복지원 안 하는 엄마가 저뿐인 것 같다"며 "다들 유치원 중복지원한 것 같은데 우리 애만 엄마가 어리숙해서 떨어지면 어떡하죠"라고 답답함을 호소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실제 지난 4∼5일 진행된 사립유치원 가, 나군 추첨에서는 상당수의 학부모가 한 군에서만 두 곳 이상 유치원에 지원해 추첨권을 뽑은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청에서 허용하는 지원 횟수는 각 군당 한 곳씩 총 4회다.

이같은 문제는 학부모에게 선호도가 낮은 비인기 유치원에서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내년 다섯 살이 되는 아들을 키우는 주부 김모(35·여)씨는 "학부모들이 선호하는 '갑' 유치원들은 대부분 교육청 방침에 따르겠다는 입장이지만 그렇지 못한 유치원들은 원아모집 실패를 걱정한 탓인지 중복지원을 열어 놓는 모양새"라고 귀띔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