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누리꾼들의 왜곡된 정의감

예수는 "너희들 중 누구든 죄 없는자, 저 여자에게 돌을 던져라" 라고 했다. 하지만 예수가 인터넷으로 이러한 댓글을 남겼다면 '웃기시네' '너 걔 친구지'라는 말과 함께 예수를 향해서 돌팔매질을 하는 이가 많을 것이다. 지난 세밑 인터넷은 뜨거웠다. '지하철 반말녀'를 찾기 위해서였다. 어르신에게 함부로 반말을 한 그를 찾기 위해 누리꾼들은 분주했다. 덕분에 신상 찾기는 어렵지 않았고 또 다른 '무개념녀'가 탄생했다. 그가 어떤 삶을 살아왔고 어떤 전후 사정이 있었는지는 고려되지 않았다. 인터넷이 없었다면 주위 사람 몇이 혀를 끌끌 차고서는 끝날 일이었다. 하지만 트위터와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나 인터넷 뉴스를 타고 전국민적인 이슈로 부각됐다. 이슈가 되니 대부분 한마디씩 말을 보탠다. 충분히 말이 차고 넘치지만 아직 못다한 훈계와 비아냥이 있는지 댓글이 이어지고 있다. 이렇듯 정의로움으로 가득 찬 누리꾼들 덕분에 세상이 더 살만해지고 있는가. 아닌 듯하다. 오히려 인터넷이 제공하는 무책임성과 비 연관성 덕분에 인터넷에만 정의가 넘실댄다. 척박한 현실에선 다들 조금은 비겁하게 자신을 다독이며 살지만 인터넷에선 하나하나가 준엄한 배심원이다. 일상에선 크나큰 불의도 모른 척 지나가지만 인터넷에선 사소한 악행도 한마디씩 해야 속이 풀린다. 법은 특정 범죄에 대해 사회적으로 합의된 양형 기준에 따라 범죄자를 처벌한다. 비슷한 범죄에 대해 개인이 가지는 분노는 다를 것이기 때문에 법은 일정 수준의 제약을 가한다. 하지만 인터넷 상에서 가해지는 인민재판은 이러한 양형 기준 없이 네티즌의 '넷심'에 따라 달라진다. 단순 훈계로 끝날 '무개념'처사가 인면수심의 범죄로 각색돼 누군가를 깊은 고통에 몰아 넣기도 한다. 누리꾼들은 인터넷상에서 행하는 비판은 정의감의 발로보다는 '마녀사냥'이란 놀이에 동참하는 무책임한 말장난에 지나지 않는다. 정의감이라는 탈을 쓴 채 단순히 마녀사냥의 놀이에 참여하는 누리꾼들의 돌팔매질은 멈춰야 한다. 그래야 진짜 정의가 살아날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