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LS전선, 초전도 케이블 전력망 가동

한전과 손잡고 세계 2번째 쾌거… 전력 선진국 '우뚝'

LS전선은 28일 한국전력 경기도 이천 변전소에서 배전급 초전도 전력설비 실계통 운전 기념행사를 가졌다. 손종호(오른쪽 두번째) LS전선 사장과 허엽(/ 세번째) 한전 건설본부장 등 관계자들이 테이프커팅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LS전선

이번 실계통에 적용된 LS전선의 22.9kV급 초전도 케이블


LS전선, 초전도 케이블 전력망 가동 한전과 손잡고 세계 2번째 쾌거… 전력 선진국 '우뚝' LS전선은 28일 한국전력 경기도 이천 변전소에서 배전급 초전도 전력설비 실계통 운전 기념행사를 가졌다. 손종호(오른쪽 두번째) LS전선 사장과 허엽(/ 세번째) 한전 건설본부장 등 관계자들이 테이프커팅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LS전선 이번 실계통에 적용된 LS전선의 22.9kV급 초전도 케이블 우리나라가 세계 2번째로 초전도 케이블을 실제 전력망에 적용, 명실상부한 전력 선진국으로 우뚝 서게 됐다. LS전선은 29일 한국전력과 함께 경기도 이천변전소에 배전용 22.9kV 케이블 시스템의 전력계통 운전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에 이어 세계 2번째로 실제 전력망에 초전도 케이블 기술을 적용한 것이라고 회사측은 전했다. 이 사업에서 한전은 초전도 전력시스템의 계통 연계 및 운전, 시스템 해석 및 보호를 담당하고, LS전선은 초전도 케이블의 제작 및 설치를 맡았다. 이번 성과는 초전도 현상이 발견된 지 100년, 고온 초전도 물질이 발견된 지 25년만에 우리나라가 일궈낸 쾌거로, 선진국들도 20년에 걸쳐 개발 성공한 것을 단 10년 만에 개발해, 명실공히 전력 선진국임을 입증했다는 게 LS측의 설명이다. 이 사업은 크게 초전도 케이블과 초전도 한류기의 설치 및 계통 운영으로 구분되는데, 여기에 사용된 초전도 케이블 시스템은 410m 규모로 배전용 케이블로는 세계 최장 길이를 자랑한다. 초전도 케이블의 본격적인 전력망 적용을 위해서는 경제성 확보와 대용량 냉각시스템, 케이블 설치경로의 고저차 극복, 중간접속 등 장거리 송전기술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이번에 적용된 케이블은 기존 초전도 케이블과 달리 중간 접속함을 포함한 세계 유일의 초전도 선로여서 앞으로 초전도 케이블을 이용한 장거리 송전과 초전도 케이블 상용화에 한 걸음 더 다가서게 됐다고 회사측은 밝혔다. LS전선은 초전도 배전 케이블은 저항이 없는 초전도 특성을 사용해 대용량 전력전송이 가능하다며 기존 송전용 케이블의 영역을 일부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한 이번 실계통 운전을 위해 개발된 기술과 노하우는 2013년 제주도에 구축 예정인 송전급 초전도 케이블 시스템 실증 사업에 활용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허엽 한국전력 건설본부장은 "이번 사업은 우리나라 전력기술을 세계 수준으로 끌어올렸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크다"며 "초전도 기술개발을 지속해 세계 1위 초전도 전력기술을 확보하고, 글로벌 전력시장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손종호 LS전선 사장은"유래 없이 빠른 시간내 초전도 전력망 기술을 개발, 구축한 것은 한전을 포함한 유관 기관과 기업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한 결과"라며 "앞으로도 한전과 손잡고 글로벌 초전도 시장을 적극 공략하겠다"고 밝혔다. *초전도 현상(superconductivity) 초전도 현상은 어떤 물질의 온도가 매우 낮을 때(-200˚C 이하) 일어나는 현상으로, 전기 저항이 0이 되고 내부 자기장을 밀쳐내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초전도체에서는 전기저항이 전혀 없기 때문에 초전도체로 만든 회로 안에 전류가 흐르면 전력 손실이 생기지 않는다. 초전도케이블은 많은 양의 전기를 손실 없이 보낼 수 있으며, 동급 일반 전력선에 비해 크기가 작으면서도 5∼10배의 송전이 가능하다. [IT·과학&자동차] 앗! 내가 몰랐던 정보들도 가득!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