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퇴행성 변화 진행되는 노년층 척추전위증 주의해야

어긋난 척추 뼈, 인공디스크 치환술로 다시 태어날 수 있어


척추는 인체의 중심축을 이루는 역할을 하며, 거의 모든 활동에 쓰이는 중요한 부위이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중 장년층이 되면 자연스럽게 진행되는 노화로 인해 여러 가지 척추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척추에 퇴행성 변화가 진행되면 척추를 이루고 있는 척추 뼈와 추간판(디스크), 인대, 관절, 근육 등의 구조물들이 약해지거나 손상될 수 있는데, 이러한 척추의 구조물들의 노화로 인해 척추 마디가 어긋나게 되면 신경이 압박되어 통증이 나타나는 척추전위증이 생길 수 있다.


척추전위증은 일반인들에게는 생소한 질환일 수 있지만, 전체 인구의 4~8%에서나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서, 허리의 척추 한마디에서 상하의 척추 뼈가 제대로 이어져 있지 않고, 어긋나있는 상태를 말한다.

주로 퇴행성 변화로 인해 디스크 간격이 좁아지고, 척추 주위의 근육과 인대가 느슨해지며 발생하는 척추의 불안정한 상태를 원인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노화가 진행되는 중 장년층이나, 노년층에게 발생할 확률이 높다.


척추전위증이 발생한 환자는 등쪽의 척추를 만져보면 다른 부위보다 튀어나온 것을 느낄 수 있는데, 허리나 엉덩이 부위의 통증을 포함해 무릎 아래쪽의 통증이 발생하기도 하며, 오래 걸으면 다리가 저리고 시리며, 무거운 느낌이 느껴지기도 한다. 또한 앉았다 일어서거나,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심해져, 정상적인 척추사용에 이상이 생길 수 밖에 없다.

관련기사



인체의 기둥인 척추 뼈가 불안정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척추전위증은 강한 허리통증이 빈번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고, 척추 뼈가 빠지며 신경을 심하게 자극해 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도 많으므로 꼭 치료를 받아야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제시간에 질환을 치료하기 보다는 치료를 계속 미루다가 증상이 악화되어 수술적 치료를 진행해야 하는 경우가 더 많다.

인공디스크 치환술로 새롭게 태어나는 척추건강

척추전위증을 치료하는 수술적 치료로는 인공디스크 치환술이 가장 적절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문제가 되는 디스크를 대체하는 인체친화적인 인공디스크가 악화된 척추건강을 완벽하게 되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강남베드로병원 신경외과 윤강준 원장은 “인공디스크 치환술은 수술 후에도 이질적인 느낌 없이 건강하고 편안한 허리를 회복해 전과 같이 유연하게 허리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과거의 인공디스크 치환술에서 이루어졌던 전신마취 대신 복강경을 이용한 국소마취만으로도 수술이 가능하게 되어 신체가 받게 되는 부담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라고 말했다.

척추전위증은 척추를 이루고 있는 구조물의 상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평소의 일상생활에서 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장시간 몸을 구부리고 있는 자세를 피해주고, 규칙적인 운동과 스트레칭으로 허리근력을 강화해주는 것으로 큰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