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5개 권역별 국제 기술협력 강화

美·中·러·獨·베트남 거점국가 지정<br>로드맵 수립·체계적 인력양성 추진


정부는 국제적인 기술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길이라는 인식 아래 전세계를 5개 권역으로 나눠 권역별로 거점국가를 지정, 운영할 방침이다. 이희범 산업자원부 장관은 12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외국과의 기술협력 강화를 위해 전세계 주요 지역을 5개 권역으로 나누고 기술협력을 위한 로드맵을 수립하는 내용의 ‘K-GIN(코리아-글로벌 기술혁신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마련, 올해부터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독일ㆍ미국ㆍ러시아ㆍ베트남ㆍ중국 등 5개국을 유럽연합(EU)권ㆍ미주권ㆍ유라시아권ㆍ아세안권ㆍ동북아권 등 5개 권역의 기술협력 거점으로 삼아 연구개발(R&D), 정보교류, 인력협력 등을 총괄 추진할 계획”이라며 “권역별로 기술수준ㆍ지역ㆍ국가별로 차별화된 기술협력을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와 함께 협력국의 기술정보 및 권역별 거점 전략을 통합하는 기술정보 포털 ‘K-GIN 온라인’을 구축하는 한편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올해 안에 연구소와 대학ㆍ기업 등의 기술인력을 대상으로 ‘기술 아카데미’도 설립할 계획이다. 정부의 이번 계획은 지난해 노무현 대통령이 남아메리카ㆍ아세안ㆍ유럽을 순방하며 맺은 국제기술협력 결실을 맺기 위한 후속조치다. 국가간 기술협력을 일회성 방문이 아닌 장기적이고 일관된 계획 아래 추진할 필요성을 절감했기 때문이다. K-GIN 프로그램은 ▦5대 권역별 기술거점 조성 ▦국제기술협력 로드맵 수립 ▦공동 R&D 및 협력기반 구축 ▦글로벌 기술정보 포털 구축 ▦권역별 기술전문인력 양성 등 기술수준ㆍ지역ㆍ국가별에 따른 차별화된 5개 전략으로 구성됐다. 올해부터 시작될 권역별 기술협력계획을 보면 EU권은 영국과 100만달러 규모의 한ㆍ영 공동기술협력기금을 설치, 나노기술(NT), 바이오기술(BT) 등 첨단산업 분야에서의 공동연구를 추진하며 프랑스와는 상반기 중 제1차 한ㆍ프랑스 에너지협력그룹 회의를 개최, 에너지협력을 진전시키고 대(對)유럽 기술협력 강화를 위해 기술협력센터 설치도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EU의 범유럽 공동 R&D 프로젝트인 ‘유레카’ 참여를 위해 로봇ㆍ디지털전자 분야 등에서 시범사업을 시작하기로 했다. 브라질ㆍ칠레 등이 속해 있는 미주권의 경우 브라질과 지난해 중단됐던 양국간 공동 R&D사업을 재개, 에너지ㆍ자동차ㆍ생물 분야 협력을 추진하며 칠레와는 3월 자원ㆍ통상ㆍ기술 분야 협력을 위한 민간조사단을 파견, 협력가능 분야에 대한 수요조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러시아ㆍ우즈베키스탄 등 유라시아권은 한ㆍ러 산업기술협력센터를 중심으로 러시아의 항공ㆍ소재 분야 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점차 협력국을 주변국으로 확대해나가기로 했다. 아세안권에서는 한ㆍ베트남 생산기술지원센터를 확대 개편, 대아세안 지역협력 교두보로 활용할 방침이다. 동북아권의 경우는 중국과의 적극적인 기술협력을 위해 올해 2~3회의 대중국 기술협력ㆍ기술수출 상담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이 장관은 “지금까지 국제 산업기술협력투자는 산자부 전체 예산의 1%도 안될 만큼 지원규모도 작고 조직적이지 못했다”며 “앞으로는 5개 주요 거점을 기반으로 체계적인 산업기술협력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