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베이비붐 세대' 일자리 대책 세운다

정년퇴직이 임박한 50대 준(準)고령자의 일자리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노사정이 대책기구를 구성하고 11일 첫 모임을 갖기로 해 주목된다. 약 712만명으로 추산되는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은퇴할 경우 나타날 사회적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자는 취지에서다. 10일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에 따르면 노사정은 11일 오후 노사정위에서 ‘50플러스 세대 고용대책위원회’(가칭) 발족을 위한 준비 위원회를 열고 이달 말까지 구성될 위원회에 참여할 인원과 논의의제, 일정 등을 논의한다. ‘50플러스 세대 고용대책위원회’는 노사정위 내에 의제별 기구로 설치되며, 위원회 구성 인원은 노사정이 각각 3명, 공익위원은 4~5명 선으로 정해질 전망이다. 노사정위의 한 관계자는 “올해부터 베이비붐 세대가 순차적으로 정년퇴직을 맞이하게 된다. 이들의 일자리 대책을 위한 사회적 합의점을 찾기 위해 노사정이 본격적으로 머리를 맞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준비 모임에는 노동부 허원용 고용평등정책관, 한국경영자총협회 이호성 경제조사본부 이사, 한국노총 김종각 정책본부장이 노사정을 대표해 참석한다. 민주노총은 현재 위원회 참석과 관련해 내부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현대경제연구원의 ‘베이비 붐 세대의 은퇴와 정책적 대응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기준 우리나라의 베이비붐 세대는 712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4.6%에 이른다. 이 가운데 임금근로자는 311만 명으로 보고서는 이들이 올해부터 2018년까지 9년에 걸쳐 은퇴할 경우(정년 55세 기준) 경제 생산활동 인구 감소로 인한 정부재정악화, 노동력 부족 등 사회적 문제가 초래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