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반포지구 조합원 "어떡해…"

소형평형 의무화로 40~50평대 절대 부족<br>일부 초대형 배정에 추가부담금만 10억선

재건축을 할 때 소형평형을 60% 이상 의무적으로 짓도록 한 정부의 조치로 서울시 서초구 반포동 반포저밀도지구 조합원들의 근심이 깊어져 가고 있다. 반포 저밀도지구 내 주공 2ㆍ3단지 조합원들은 각고의 노력 끝에 최근 사업승인을 받았다. 그러나 본인의 의사에 상관없이 조합원 중 적지 않은 수가 80~90평형대를 배정 받아 10억원 정도의 추가 부담금을 물게 될 처지에 놓였다. 이유는 소형주택 의무건립 비율 60%를 적용하게 되면 조합원들이 배정 받기 원하는 40~50평형대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소형평형 의무건립 비율로 인해 하락한 수익성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분양가가 높은 초대형으로 지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주공 2단지 사업계획을 보면 총 건립 가구수 2,144가구 중 1,467가구가 전용면적 25.7평 이하로 신축된다. 25.7평 초과는 877가구에 불과하고, 이중 40~50평형대는 330가구 수준이다. 877가구 중 40~50평형대 330가구를 제외한 547가구는 65평ㆍ72평ㆍ83평 등 초대형 평수로 계획돼 있다. 3단지 역시 총 건립규모 3,410가구 중 전용 25.7평 초과가 1,364가구. 이 중 40~50평형대는 340가구에 불과하다. 69, 79, 89, 92평형 등 나머지는 초대형 평수다. 조합원 평형 배정은 추첨을 통해 결정된다. 2단지 조합원은 1,720명, 3단지는 2,400명에 이른다. 이들 조합원의 80% 가량이 40~50평형대 배정을 희망하고 있다. 그러나 40~50평형대가 2단지는 330가구, 3단지는 340가구. 결국 추첨에서 많은 조합원들이 탈락할 수 밖에 없고, 이들은 원하지 않아도 막대한 추가 부담금을 물고 초대형 평형에 입주할 수 밖에 없는 셈이다. 그렇다고 40~50평형대 건립 규모를 늘리는 것도 어렵다. 분양가가 비싼 초대형 평형 없이는 개발이익이 감소, 조합원들이 부담할 추가 부담금이 현재보다 눈덩이처럼 불어나기 때문이다. 반포지역 재건축조합연합회는 이에 따라 건설교통부에 10% 세대 수 증가를 강력히 요청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9월 5일 투기억제 정책의 일환으로 재건축 소형주택 의무건립비율을 60% 이상으로 확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