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李대통령 "불교계 상심 유감"… 어청수 사퇴 빠져 사태진정 미지수

李대통령 "불교계 상심 유감"<br>불교계 "긍정적" 평가불구 파면요구 안굽혀<br>여권선 "자진사퇴로 문제해결" 주장 힘얻어

이명박 대통령이 9일 국무회의에서 유감표명을 통해 사실상 불교계에 머리를 숙였다. 새 정부의 종교편향에 대해 반발해 온 불교계는 일단 '성의 있는 자세'라고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지만 또 다른 요구사항인 어청수 경찰청장의 파면 요구를 굽히지 않아 대통령의 유감표명으로 사태가 진정될지 불투명하다. 이 대통령의 유감표명은 불교계의 반발이 표면화되기 시작한 이후 70여일 만에 나왔다. 정부ㆍ여당의 전방위적인 불교계 달래기 노력에도 불구하고 성난 불심(佛心)이 가라앉기는커녕 점점 악화될 기미를 보이자 이 대통령이 직접 사태진화에 나선 것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본의는 아니겠지만 일부 공직자가 종교 편향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그런 언행이 있어서 불교계가 마음이 상하게 된 것을 심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앞으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국무위원들도 관심을 갖고 철저히 교육시켜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이 공개 유감의 뜻을 표명한 것은 `쇠고기 파동'과 관련한 지난 5월22일, 6월19일의 2차례 대국민사과에 이어 세번째다. 이 대통령이 직접 나서지 않고는 불교계 사태를 수습할 수 없다는 현실적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앞서 지난달 25일 "공직자들은 종교문제와 관련해 국민화합을 해치는 언동이나 업무처리를 해서는 안된다. 관련 부처에서 법과 제도적인 개선책을 강구해달라"며 종교편향논란에 대한 특단의 대책마련을 청와대 수석들에게 지시했다. 하지만 불교계는 대통령의 사과과 형식을 갖추지 않았고 '진정성'이 없었다고 반발했으며 오히려 한발 더 나아가 추석 연휴 이후 지역별로 정부의 종교편향을 규탄하는 범불교도 대회를 열기로 하는 등 정부에 대한 압박수위를 높였다. 추석 연휴를 국정 대반전의 기회로 삼으려는 이 대통령 입장에선 불교계의 반발을 진정시키는 것이 우선 과제가 됐다. 이 때문에 이날도 국무회의의 공식석상과 대통령과의 대화에서 2차례에 걸쳐 종교편향에 대한 유감표명을 하게 됐다. 이 대통령의 유감표명 결단에는 박희태 대표를 비롯한 한나라당 지도부의 요청과 김형오 국회의장 등 국회의장단의 요청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유감표명으로 일단 사태해결의 7부 능선은 넘었으나 불교계에서는 어청장 경질요구를 굽히지 않아 사태가 장기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어 청장 경질에 대해서는 여권내에서는 표명적으로는 '불가'입장을 밝히고 있지만 사실상 어 청장 본인이 자진사태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어 청장이 부적절한 처신을 한 점이 분명히 있고, 본인으로 인해 사태가 꼬인 측면도 있는 만큼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