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고교 영어수업 교사확보가 관건

모든 고교에서 오는 2010년부터 영어로 영어수업을 하고 내년부터 농어촌 지역에 생기는 기숙형 공립고교에서 영어 이외의 과목도 영어로 가르치는 영어몰입교육을 시범적으로 실시하겠다는 대통령직인수위 발표는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고등학교만 나와도 듣고 말하고 쓰기를 할 수 있도록 해 ‘기러기 아빠’와 사교육비를 줄이겠다는 취지는 좋으나 2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교사확보 등이 제대로 될지 의문이다. 글로벌시대에 영어는 우리의 아킬레스건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초등학교에서도 영어교육을 부분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성과는 기대 밖이다. 이 때문에 조기유학으로 ‘기러기 아빠’ 등이 양산돼 사회문제가 된 지 오래다. 인수위는 이의 해결책으로 영어과목의 상시평가 및 등급제 도입, 영어수업 방침을 골자로 한 ‘영어 공교육 완성 프로젝트’를 발표했으나 사교육만 조장할 뿐이라는 반대에 부딪쳐 있다. 국가가 책임지고 영어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겠다는 취지는 반대할 이유가 없다. 문제는 실행 방법이다. 현재 초등학교의 영어교육이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것도 인재부족이 가장 큰 원인이다. 전국 1,400여개 일반계 고교에 영어교사가 1만5,000여명이나 되지만 영어로 수업을 할 수 있는 교사는 그렇게 많지 않은데다 교사에 비해 학생 수가 너무 많다. 영어가 이러한데 수학ㆍ과학 등의 과목은 더 말할 필요가 없다. 인수위는 투자를 통해 영어수업을 할 수 있는 교사를 매년 1,000명 이상씩 뽑고 기존 교사를 재교육해 해결하겠다고 하지만 듣고 말하고 쓸 수 있는 영어교사가 2년이란 짧은 기간에 양성되기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 단기간에 이러한 영어교사를 확보하려면 교직을 개방하는 수밖에 없다. 즉 교원자격증 소지자란 벽을 허무는 것이다. 국민 중 영어로 수업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인재를 활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교원 관련 법령 개정과 교육과정 개편 및 교원단체 반발이란 장애도 넘어야 한다. 영어가 국가경쟁력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서두르기보다는 실천 가능한 방안을 치밀하게 마련해 취지를 살려나가기 바란다. 설익은 계획은 사교육을 부추기는 등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