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KOTRA맨이 들려주는 글로벌 스토리] <21>브라질 태양광 시장 노려라

연평균 일사량 많아 천혜의 조건

유휴전력 전기요금 공제 혜택도


브라질은 중남미 대부분의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전력사정이 좋지 않습니다. 전체 전력생산의 65%는 수력발전에 의지하고 있습니다. 이를 다변화하기 위해 브라질 정부는 풍력발전 경매를 도입했고 덕분에 2003년 22㎿에 불과하던 풍력발전 생산량이 지난해는 2,140㎿로 증가했습니다.


다음 차례는 태양광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브라질은 연평균 일사량이 많아 태양광 발전을 위한 천혜의 조건을 갖추고 있지만 아직 생산량이 5㎿ 정도뿐입니다. 브라질 에너지기업인 MPX(Eneva)가 브라질 최초로 1㎿ 규모의 태양광발전소를 건설했으며 상파울루주 배전회사인 CPFL가 1.1㎿, 미나스제라이스주 전력회사인 CEMIG가 3㎿ 용량의 프로젝트를 추진 중입니다.

관련기사



이 가운데 브라질 정부는 지난 2012년 100㎾~1㎿의 소규모 전력을 생산해 전력망에 공급하고 유휴 전력은 전기요금에서 공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법령을 제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모든 배전회사는 소규모 전력 생산자의 전력을 기존 전력망에 연결하고 유휴 전력량을 계산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이는 주로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원에 적용됩니다. 덕분에 브라질의 태양광발전 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국 기업들도 브라질 태양광 발전 시장의 초기 단계부터 관심을 갖고 시장을 선점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직도 브라질의 전력생산 단가가 비싼데다 풍력발전이 그랬듯 발전단가가 지속적으로 낮춰지면서 브라질 발전원에서 태양광이 일정 부분을 차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브라질 시장에 진출하려면 현지 사정을 잘 알고 있는 파트너가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최근 브라질 정부에서 전력 부문 장비의 국산품 구매 의무화(60% 내외 예상)를 검토하고 있어 현지화에 대한 계산도 필요합니다. 한국 태양광 기업들이 브라질 시장에서 선전하는 모습을 기대해봅니다. /이정상 상파울루무역관 수출인큐베이터팀장

※이 글은 다음주 KOTRA OIS홈페이지(www.ois.go.kr)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