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주택대출자 16%가 '하우스 푸어'

KB금융 경영硏 조사<br>64% "집 빨리 팔고 싶다"

국내 주택담보대출자 5명 중 1.5명꼴로 '하우스 푸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하우스 푸어는 집을 빼고 나면 모든 자산을 처분해도 빚을 갚을 길이 없다는 뜻으로 대출 원금과 이자를 갚는 데 수입의 30% 이상을 지불해 생활에 곤란을 겪는 가구를 말한다.

18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수도권과 5대 광역시에서 주택담보대출을 가진 2,000가구를 대상으로 표본조사를 실시한 결과 주택담보대출자의 16.2%가 하우스 푸어로 파악됐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하우스 푸어의 절대다수인 96.3%가 대출 원리금 상환에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침체로 가처분소득은 줄어든 반면 금리 상승 등으로 금융비용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응답자의 74.8%는 "빚을 갚느라 가계지출을 줄여가고 있다"고 답했다. 또 하우스 푸어의 절반을 웃도는 64%는 "주택을 빨리 팔고 싶다"고 응답했다.


연령별로는 30~40대 비중이 38.5%로 가장 많았다. 반면 50대(13.5%)와 60대(11.2%) 비중은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사실상 퇴직을 앞두거나 퇴직한 후에도 가계부채에 시달리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크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관련기사



집값이 비쌀수록 하우스 푸어도 많았다. 담보주택 규모별로 9억원 이상의 하우스 푸어가 22.3%에 달했다. 집값이 6억~9억원인 하우스 푸어는 14.5%, 3억~6억원은 17%로 나타났다. 집값 1억5,000만~3억원의 비율은 15.6%, 1억5,000만원 미만인 경우는 13.2%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17.4%) 및 경기(18%) 지역에서 하우스 푸어의 비중이 높았다. 서울에서도 고가 아파트가 집중돼 있는 상위 4개구의 하우스 푸어 비중이 17.2%로 높았다.

연구소 관계자는 "부채상환능력이 낮으면서 이자만 납부하는 '부채상환능력 취약대출'은 전체 주택담보대출의 26.2%를 차지한다"며 "올해 부채상환능력 취약대출의 만기 도래 비중이 21.2%로 가장 높아 주택담보대출의 부실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철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