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부실 저축銀 PF사업장 솎아낸다

금감원, 470곳 전수조사 연체여부등 파악<br>내달께 마무리… "하반기 구조조정 신호탄"


금융감독원이 저축은행의 470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사업장을 전수조사한다. 금감원은 이를 통해 부실로 판명된 PF 대출채권은 구조조정기금을 투입해 사들일 계획이다. 저축은행 업계에서는 이번 PF 사업장 전수조사를 하반기 구조조정의 신호탄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금감원의 고위 관계자는 24일 "조만간 저축은행의 PF 대출 사업장에 대한 전수조사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 초부터 가동하고 PF 대출 상시 전산감독시스템을 활용해 98개 저축은행이 참여한 470개 사업장의 대출금과 연체 여부, 사업 진행상황 등을 파악할 방침이다. 이번 전수조사는 늦어도 다음달에는 마무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금감원이 지난해 4월에 이어 저축은행 PF 사업장을 일제히 점검하기로 한 까닭은 부동산 경기가 살아나지 않아 올 들어 PF 부실이 더 심해졌다는 판단이 섰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부동산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PF 사업 좌초와 저축은행 건전성 악화 등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저축은행 부실을 추가로 정리하기 위해 전수조사에 나선 것이다. 실제로 저축은행 PF의 부실채권 규모는 지난 2009년 말 6,700억원에서 지난해 말 1조1,300억원으로 급증했으며 연체율도 25%까지 치솟았다. 금감원은 전수조사 결과에서 부실로 분류되는 PF 대출 채권에 대해서는 자산관리공사(캠코)에 매각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미 올해 저축은행 부실채권을 인수하기 위해 3조5,000억원의 구조조정기금을 마련해뒀다. 금감원은 이와 함께 저축은행의 건전성 전반에 대해서도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하반기에 추가로 쓰러지는 저축은행이 나올 수 있다는 시장의 우려를 감안해 저축은행 전반의 건전성을 일괄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축은행 업계에서는 금감원이 PF 사업장 전수조사와 저축은행 건전성 모니터링을 통해 하반기 구조조정 대상을 가려낼 것으로 내다봤다. PF의 부실 대출 채권을 캠코에 할인 매각해야 하는 저축은행은 손실액에 비례해 충당금을 대규모로 쌓아야 하는 만큼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급격하게 떨어질 수 있어서다. 또 앞으로 저축은행 대출의 연체 기준이 3개월에서 2개월로 줄어들게 돼 정상 여신이었던 대출이 연체로 분류돼 장부상 부실 규모가 더 커지게 된다. 게다가 각 저축은행이 발표한 PF 연체율 등이 실제보다 축소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감안하면 PF 부실 규모가 알려진 것보다 훨씬 커질 수 있다. 저축은행 업계 관계자는 "금감원의 전수조사가 실시되면 그동안 가려져 있던 PF 부실이 고스란히 드러날 가능성이 높다"며 "이럴 경우 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뚝 떨어져 구조조정 대상으로 분류될 저축은행이 여럿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금감원은 태광그룹 계열 저축은행들이 불법영업을 해왔다는 의혹이 제기되자 검사에 착수했다. 부산에 본점을 둔 고려저축은행이 서울에 본점이 있는 예가람저축은행에 전산시스템을 설치하고 직원을 상주시키고 편법으로 대출을 취급했다는 민원이 접수되자 이에 대한 확인에 나선 것이다. 금감원은 검사 결과 이 같은 불법영업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면 제재하고 상호저축은행법 위반 혐의로 형사 고발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