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민노총 1일 총파업 가능성

찬반투표 가결… 농민·전교조 등과 연대투쟁 계획

민노총 1일 총파업 가능성 찬반투표 가결… 농민·전교조 등과 연대투쟁 계획 김호정기자 gadgety@sed.co.kr 민주노총의 총파업 찬반투표가 가결돼 오는 12월1일부터 파업투쟁에 돌입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27일 민주노총에 따르면 전체 조합원 62만여명 가운데 52%가 투표에 참여, 60%대 초반의 찬성률로 총파업 돌입이 가결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민주노총은 28일 기자회견을 열어 정확한 투표결과와 앞으로의 투쟁일정을 공개할 방침이다. 지난 25일 민주노총 중앙집행위원회가 결정, 발표한 총파업투쟁지침에 따르면 민주노총은 다음달 1일 오전10시부터 총파업에 들어가 노조별로 파업 출정식을 갖고 이날 오후3시 수도권 지역 국회 앞 결의대회 등 각 지역별로 결의대회를 열 계획이다. 중앙지도부는 이날부터 국회 앞 철야농성을 시작하고 산하 및 가맹조직도 철야농성에 들어간다. 민주노총은 파업에 돌입하지 못하는 조직도 1일 이상의 연월차 휴가, 오후 조퇴투쟁, 산업 및 업종별 단체행동 등을 투쟁지침으로 결정했다. 민주노총은 사업장ㆍ연맹ㆍ지부별 파업투쟁을 벌인 뒤 정기국회 마지막 날인 9일에는 비정규권리보장 입법 완전쟁취 전국노동자대회를 열 방침이다. 민주노총은 파업기간 중에 쌀 관세화 유예 협상 비준안 국회 통과에 대해 강력 반발하고 있는 농민들과 연대투쟁을 벌일 계획이다. 또 전교조가 총파업 돌입일인 다음달 1일 교원평가제 시범학교 선정에 반발해 연가투쟁을 벌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수일 전교조 위원장이 27일 임시대의원대회에서 투쟁계획 부결로 사퇴함에 따라 전교조의 연가투쟁 여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한편 민주노총의 파업에 대해 노동부는 근로조건 개선이나 임금과 무관한 정치파업으로 불법이라고 지적했다. 노동부는 자체 집계 결과 투표 참가율이 48% 정도에 불과하고 현대자동차ㆍ기아자동차 등 주요 사업장들이 파업에 불참하는 등 총파업이 제대로 진행되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입력시간 : 2005/11/27 17:4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