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매틈새상품 투자 어떻게

경매틈새상품은 일반 경매투자 보다 리스크는 적지만 여전히 주의할 점들이 많다.우선 해당 부동산물건의 투자수익성 여부를 면밀히 살펴야 한다. 액면가보다 할인된 가격이란 점만 믿고 채권을 샀는데 해당 부동산의 낙찰금액이 이에도 못 미칠 경우 배당금을 받아도 투자금 조차 못 건질 수 있기 때문. 따라서 해당 부동산의 시세와 감정가 등을 사전에 조사해야 한다. 또 낙찰 후 배당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어느 정도인지도 확인해 금융비용까지 계산에 넣어야 한다. 권리분석도 투자자의 몫. 1순위 채권을 매입했다고 하더라도 우선변제 대상인 소액 임차인들이 많을 경우 배당금 받는 돈이 투자금 보다 적을 수 있다. 해당 경매틈새상품을 소개해준 중개업체나 매도자의 권리분석을 맹신해 사후에 분쟁에 휘말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권리분석은 반드시 직접 챙겨야 할 사항이다. 서류 상으로 볼 때는 훌륭한 부동산 물건이지만 실재로는 일부가 훼손됐거나, 건축하자 등의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 이런 점을 피하려면 반드시 현장을 방문해야 하고 매매계약 시에 물건에 하자가 발생했을 때 책임문제를 분명히 명기하는 것이 좋다. 경매틈새상품 투자의 가장 큰 어려움은 물건 정보를 구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일반 경매와 달리 정기적으로 매각공고를 내보내지 않기 때문에 일일이 관련 업체에 연락을 하는 수밖에 없다. 주로 이런 상품을 매각하는 것은 GE캐피털나 모건스탠리, 론스타 등 외국계 투자회사들이다. 다만 이들 업체들도 최근 들어선 보유하고 있는 물건 중 상당수를 매각한 상태이기 때문에 좋은 물건을 찾기는 쉽지 않다. 민병권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