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하이일드채권 펀드 설정액 7년만에 최대

공모·사모 합쳐 7,800억

신용등급이 다소 낮은 채권에 투자해 고수익을 추구하는 하이일드채권 펀드의 설정액이 7,000억원을 넘어 7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최근 금융당국이 하이일드 펀드의 세제지원 방안을 마련함에 따라 설정액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4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국내 하이일드펀드의 설정액은 공모와 사모를 합쳐 7,810억원(1일 기준)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7년 6월 29일(9,087억원) 이후 최대치다. 6월 말 기준 7,476억원에서 한달새 334억원이 늘었다. 하이일드 펀드의 설정액은 2004년 상반기 말 5조7,181억원에서 2007년 1조원 아래로 떨어졌고 2011년에는 541억원으로 급격하게 쪼그라들었다.

관련기사



하이일드 펀드로 자금이 몰린 데는 저금리 시대가 장기화된데다 신흥국 채권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안기 커진 상황에서 저금리 극복자산으로 미국 등 선진국 하이일드 채권이 재부상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재훈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하이일드 채권으로 펀드자산의 1.4%에 달하는 유입액이 들어와 역사적인 수준(0.05%)을 웃돌고 있다"며 "투자자들의 위험선호도가 강해진데다 저금리 극복자산으로 하이일드 채권이 신흥국 채권의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금융위원회가 올해 4ㆍ4분기부터 비우량 회사채를 30%이상 편입한 하이일드 펀드를 대상으로 분리과세 혜택을 준다는 방안을 내놓고 있어 향후 하이일드 펀드에 자금이 더 몰릴 수 있을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다만 현재 저등급 회사채에 투자하는 하이일드 펀드가 소수인데다 투자 대상인 비우량 회사채가 부족한 상태이기 때문에 먼저 정크본드 유통시장을 활성화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