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인공 임신중절(낙태)률이 최근 3년간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보건복지부는 전국에 거주하는 가임기(15~44세) 여성 4,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 결과 인공 임신중절률이 최근 3년 만에 28% 줄었다고 23일 밝혔다.
인구 1,000명당 임신중절 시술 건수를 뜻하는 인공 임신중절률은 2008년 21.9건에서 2009년 17.2건, 지난해 15.8건까지 낮아졌다. 국내 전체 가임인구 1,071만명을 기준으로 추정한 중절자수는 2008년 24만1,000명, 2009년 18만8,000명, 2010년 16만9,000명이다.
기혼여성 인공 임신중절률은 2008년 28.1건, 2009년에는 20.7건. 지난해 17.1건으로 떨어졌다. 이에 비해 미혼여성의 중정률은 2008년 13.9건에서 2009년 12.7건으로 소폭 줄었다가 지난해 다시 14.1건으로 증가세로 돌아섰다.
월소득 구간별 중절률을 보면 300만원 이하 소득자의 감소 폭이 두드러졌다. 전체 중절 경험자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소득구간은 300만~500만원대로 비율은 37.5%였다.
임신중절을 택한 원인 중에는 ‘원치 않은 임신’이라는 응답이 35%로 가장 많았고 경제상 양육 어려움(16.4%), 태아 건강문제(15.9%) 등이 뒤를 이었다.
하지만 중절자수가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국가중 영국(16.8건), 프랑스(17.6건), 미국(18.9건) 등에 비해서는 낮지만 독일(7.2건), 이탈리아(10.2건), 일본(10.3건)보다는 높은 상태다.
원치 않는 임신을 막아 낙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올바른 피임법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부족한 것도 높은 임신 중정률을 높이는 요인이다.
바이엘헬스케어가 세계 피임의 날(26일)을 맞아 10개의 국제 NGO 단체를 후원해 아시아 9개국 20~35세 이상 성인ㆍ남녀 1,804명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의 65%가 웹사이트나 블로그, 까페 등의 인터넷을 통해 피임에 관한 정보를 얻는다고 대답했다. 이는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높은 비율이다.
가장 실패율이 높은 질외 사정 피임법을 사용하는 한국인 응답자 비율은 39%로 가장 높았던 반면 효과가 입증된 먹는 피임약을 사용하는 비율은 11%에 그쳤다.
잘못된 정보가 만연해 있는 인터넷에 의존에 피임을 할 경우 실패할 확률이 많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