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현대해상 '정몽윤 회장 체제'로

하종선 사장 구속따라 "이사회 중심 경영 돌입"


하종선 사장의 구속으로 선장을 잃은 현대해상이 대주주인 정몽윤 회장의 직할 경영체제로 전환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일상 업무는 5개 사업 부문 집행임원을 중심으로 진행하지만 중요한 의사결정은 이사회를 통해 이뤄진다는 게 현대해상 측의 설명이다. 현대해상의 한 관계자는 “16일 임시 임원회의를 열고 향후 중요한 경영 결정은 이사회가 중심이 돼 맡고 일반적인 경영 사항은 5개 부문을 맡고 있는 집행임원들이 책임지기로 했다”고 밝혔다. 사실상 직할체제를 운영할 정 회장은 고 정주영 회장의 7남으로, 현대해상 지분 21.67%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의사회 의장을 맡고 있다. 지금까지도 정 회장은 경영에 간접적으로 참여했지만 대표이사가 구속된 상황에서 이사회의 역할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게 사내 분위기다. 하 사장의 신변에는 당장 변동이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구속 수감됐지만 법원에서 범죄혐의가 최종 확정될 때까지는 무죄추정의 원칙에 따른다는 게 현대해상 측의 설명이다. 하 사장은 지난 2004년 12월 취임 이후 현장 중심 경영을 강조하며 회사 영업실적 개선에 기여했고, 내년에는 중국시장 진출을 선언하는 등 그동안 경영성과에서 후한 점수를 받고 있다. 현대해상 관계자는 “하 사장 취임 이전에 발생한 일이기 때문에 현대해상과는 관련이 없지만 이번 일로 회사 이미지에 타격이 올까 걱정된다”면서 “다행히 보험사는 법 규정에 따라 일상적인 업무들이 이뤄지기 때문에 5개 부문 집행임원이 원활하게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