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6자회담 실질 성과 거둬야"

"한·미·일 주도면밀한 전략 마련"<br>한·미 차관급 전략대화 합의

유명환(왼쪽) 외교통상부 제1차관과 니컬러스 번스 미 국무부 차관이 7일 오전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한·미 차관급 전략대화에 앞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한미 양국은 7일 차관급 전략대화를 열고 6자 회담 재개시 실질적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유명환 외교부 제1차관과 니컬러스 번스 미 국무부 정무차관은 이날 전략대화에서 이같이 합의한 뒤 한ㆍ미ㆍ일 등이 “주도면밀하게 전략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정부 당국자가 밝혔다. 이 당국자는 이에 대해 “북한 핵실험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 목표 달성이 시급한 문제로 대두된 상황에서 6자 회담이 열리고도 실질적 성과가 없을 경우 6자 회담을 계속할 모멘텀(동력)이 손상될 수 있는 만큼 회담이 열리면 실질적 성과를 거둬야 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실질적 성과를 위해 6자 회담 재개시 관련국들이 북한에 핵 폐기 의지를 입증할 수 있는 ‘선행조치’를 요구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에 대해 이 당국자는 “미국이 회담 재개시 북한에 요구할 ‘선행조치’를 이날 협의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양측은 또 이날 회담에서 6자 회담이 재개되더라도 안보리 결의 1718호 이행은 계속돼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하고 북을 핵 보유국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한편 박인국 외교부 외교정책실장은 이날 로버트 조지프 미 국무부 군축담당차관과 별도 협의를 통해 우리 정부가 안보리 결의 1718호에 포함된 화물 검색 조항 이행과 관련, 현재 운용하고 있는 남북해운합의서의 구체적 내용을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한 당국자는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은 채 남북해운합의서를 활용해 안보리 결의 1718호에 명시된 화물 검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입장을 설명하자 미측은 ‘잘 알아들었다’고 답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