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R&D특구 추가지정에 지자체들 '희비'

● 대구·광주시<br>"IT융합·친환경차 부품 등 지역산업 고부가화 발판"<br>● 대전시<br>"연구 인프라 등 중복투자 대덕특구 위상·역할 위축"

대구와 광주에 연구개발(R&D) 특구가 추가 지정되면서 해당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산업을 고부가가치화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며 크게 반기고 있다. 반면 기존 대덕 R&D특구가 있는 대전에서는 중복투자에 따른 특구 전체 수준의 하향화를 우려하며 반발하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지난 17일 'R&D특구 위원회'를 개최, 대구 및 광주의 R&D특구 지정안을 심의ㆍ의결했으며 20일 지정ㆍ고시할 예정이다. R&D특구에는 국가 R&D예산이 집중 지원되는 것을 비롯해 연구소기업 및 첨단기술기업에 대한 국세ㆍ지방세 감면, 보조금 지원, 각종 부담금 감면, 인허가 일괄처리 등이 이뤄진다. 대구 R&D특구의 경우 테크노폴리스지구와 성서 첨단산업지구, 융합 R&D지구, 의료 R&D지구, 지식서비스 R&D지구 등 5개 지구에 총 22.253㎢(경북 6.028㎢ 포함)가 지정됐다. 대구시는 R&D특구 지정에 따라 지역기업 역량과 대학의 우수인력을 적극 활용, 연구개발을 통해 신기술을 창출하고 기술을 사업화해 'IT기반 융복합 산업'의 세계적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광주 R&D특구의 경우 광주 첨단지구와 진곡산단, 신룡지구, 전남 장성군 남면과 진원면 일대 등 총 18.73㎢가 특구에 포함됐다. 광주시는 R&D특구를 대덕연구단지와 개념이 다른 연구ㆍ생산복합단지로 만드는 한편 차세대 광기반 융복합, 친환경자동차 부품소재, 스마트케어가전, 차세대전지 등의 특화산업을 집중 육성할 방침이다. 장석구 대구시 신기술산업국장은 "R&D특구 내 기업과 연구기관을 패키지 형태로 지원해 신제품의 사업화를 촉진할 것"이라며 "특구 조성에 따라 약 1조8,000억원의 부가가치 효과와 10만명의 고용창출 효과를 유발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다. 반면 대전시는 지난 17일 "R&D특구 추가 지정은 지역간 연구 인프라의 중복 투자를 가져와 대덕특구의 위상과 역할을 위축시키는 것은 물론 특구의 수준을 하향화할 것으로 우려된다"며 반발했다. 이어 "대덕특구가 국가 과학클러스터 허브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앞으로 4~5년간은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