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北미사일 발사] 與 "정부 늑장대처 비난 보도 우려"

野, 盧대통령 입장 표명·사과 촉구…與, 李통일등 불러 대응상황 점검

김근태(오른쪽) 열린우리당 의장이 7일 북한 미사일 사태에 대한 정부측 보고를 위해 서울영등포 당사를 찾은 이종석 통일부 장관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신상순기자

열린우리당은 7일 이종석 통일부 장관과 윤광웅 국방부 장관 등을 서울영등포 당사로 불러 북한 미사일 사태에 대한 정부측 보고를 듣고 대응상황을 점검했다. 비상상황에 대한 정부측과의 긴밀한 협력으로 집권여당의 면모를 보이면서 7ㆍ26 재보선을 앞두고 야당의 정치공세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또 안보정책 및 위기관리시스템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을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판단도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김근태 의장은 “매뉴얼에 따라 (대처)한 것이 안이하게 대응했다는 오해가 있다”고 정부측 해명을 주문했다. 이 장관은 이에 대해 “안이한 게 아니라 이런 사태 발생에 대비해 사전에 면밀히 준비한 대로 한 것”이라고 강조했고 윤 장관도 “매뉴얼과 공개절차에 따라 최선을 다해 침착하게 대응했다”고 말했다. 우상호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한ㆍ미 양국은 사태발생 초기부터 매우 긴밀하게 공유하고 대처했다”며 “일부 언론의 ‘늑장대처’비판 보도에 대해 우려를 표시했다. 한나라당은 그러나 연일 공세의 고삐를 죄며 노무현 대통령의 입장표명과 사과를 촉구했다. 김영선 대표는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정부는 대북정책을 전면 재검토해 더 이상 북한의 ‘벼랑 끝 전술’이 통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고 윤건영 정책위의장 대행은 “대통령보다 국민이 먼저 상황을 파악하는 게 정상적인 상황인지 묻지않을 수 없다. 노 대통령은 북한 미사일 발사와 관련 분명한 입장을 밝히고 국가안전시스템의 비정상적 운영과 일부 미작동에 대해 국민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상열 민주당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미사일 사태가 발생한 뒤 며칠이 지나도록 책임 있는 한마디를 하지 않고 있는 것은 국가 안보의 최종 책임을 방기한 것”이라며 “대화의 창구는 열어놓되 단호하고 분명한 목소리를 전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용진 민노당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현명한 접근과 판단을 강조하며 “섣불리 대북정책을 후퇴시켜 독자적인 대북 대화라인에 손상을 입혀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