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몽니' 부리는 북한

북한이 결국 '최악의 수'를 뒀다. 금강산 재산권 문제와 관련해 자기 마음대로 하겠다는 뜻을 22일 전달했다. 그것도 우리 정부가 북한 수해 복구를 위해 50억여원의 자금을 지원하겠다는 안건을 의결한 날 이 같은 일을 벌였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이번 금강산 문제는 처음부터 끝까지 북한의 의도대로 흘러갔다. 금강산 관광 독점 사업권을 가진 현대아산이 엄연히 존재하는 상태에서 제멋대로 금강산 국제관광특구법을 만들어 놓고 재산권 정리에 참여하라는 통보를 할 때부터 그랬다. 이후 북한은 '당국 배제'라는 엉뚱한 방침을 내세워 우리 정부 측의 실무 회담 제의를 번번이 거절했다. 이후 북한의 뜻대로 당국이 빠진 채 현대아산이 직접 대화를 했지만 여기서도 북한의 뻔뻔한 행동은 계속됐다. 결국 북한이 금강산을 처음 문제시하면서 제시했던 3주 기한이 지나자 자신들이 애초 주장했던 조치를 그대로 실천했다. 금강산 문제가 터진 후 우리 당국은 어르기도 달래기도 하면서 북한의 태도 변화를 기대했다. 그 사이 인도네시아 발리에선 2년 7개월여 만에 남북이 테이블에 마주 앉았고 당시 양측의 공통된 평가처럼 '서로의 입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오해를 푸는 유익한' 대화를 나눴다. 하지만 북한은 결국 그런 화해와 협력을 위한 기회를 걷어차버렸다. 사실 북한이 금강산을 그들 뜻대로 국제 시장에 내놓는다 해도 이를 떠맡을 사업자를 구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대다수 전문가의 평가다. 남북한 분쟁이라는 시한폭탄을 짊어지고 사업에 뛰어들 이가 얼마나 되겠는가. 게다가 수익 대다수를 차지하는 남측 관광객이 빠진 상황에서 돈을 벌기도 쉽지 않다. 결국 금강산을 둘러싼 북한의 최근 돌출 행동은 남한을 향한 몽니 부리기에 불과한 것이다. 어린애처럼 몽니만 부리는 북한의 행동에 우리는 지칠 대로 지쳤다. 인도적 지원을 명분으로 내건 대북 지원마저 갈수록 여론의 지지를 잃는 것이 좋은 예다. 북한은 '몽니 부리기'를 이제 거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민족적 우애마저 잃어버릴지 모르는 일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