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모소득 월 400만원 이상 자녀, 성적 최상위 비율 높아

부모 소득이 높을 수록 그 자녀들의 성적이 상위권일 확률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양정호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는 30일 통계청이 올해 2월 발표한 ‘2013 사교육비 조사 결과’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초·중·고교에서 부모 소득이 높을수록 성적 최상위(상위 10%)에 든 비율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통계는 지난해 전국 초·중·고 1,094개의 학부모 약 4만4,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다.

초등학교에서 부모 소득이 월평균 400만원 이상인 학생은 전체의 소득분포 비율보다 성적이 상위 10%에 포함되는 비율이 높았다.

부모 소득이 월 700만원 이상인 학생은 전체 학생의 11.90%이지만 성적 상위 10%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90%를 기록했다.

또 부모소득이 월 600만∼699만원인 경우는 8.70%(소득분포 비율 6.20%), 500만∼599만원은 13.90%(소득분포 비율 11.40%), 400만∼499만원은 19.10%(소득분포 비율 16.50%)로 집계됐다.

중학교는 부모소득이 700만원 이상인 학생의 경우 성적 상위 10%에서 비중은 15.50%(소득분포 비율 10.20%)를 기록했고 600만∼699만원 8.60%(소득분포 비율 5.80%), 500만∼599만원 14.50%(소득분포 비율 11.10%), 400만∼499만원 21.40%(소득분포 비율 16.60%)로 파악됐다.

일반계 고등학교도 부모소득이 700만원 이상인 경우 성적이 상위 10%에 드는 학생이 16.80%(소득분포 비율 11.10%)로 높았다.


그다음으로 600만∼699만원은 7.30%(소득분포 비율 5.30%), 500만∼599만원 12.90%(소득분포 비율 10.80%), 400만∼499만원 16.70%(소득분포 비율 15.90%)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반면 성적이 최하위권(하위 81∼100%)에는 부모의 소득이 낮은 학생의 비율이 높았다.

예컨대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부모 월평균 소득이 100만원 미만은 6.80%(소득분포 비율 4.10%), 100만∼199만원은 16.70%(소득분포 비율 13.00%), 200만∼299만원은 21.10%(소득분포 비율 18.90%)로 나타났다.

양 교수는 “초·중·고 모든 학교급에서 부모 소득이 높은 학생이 성적 상위권에 몰려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며 “부모 소득에 따른 성적의 양극화가 심화되는 구조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부모의 소득계층에 따른 사교육비 격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초·중·고교에서 소득 최상위 계층(월 700만원 이상) 자녀의 연간 사교육비는 497만8,000원으로 최하위 계층(월 100만원 미만) 81만5,000원의 6.1배를 기록했다.

특히 영어 사교육비만 살펴보면 소득 최상위 계층 자녀 가운데 성적이 상위 10%에 드는 학생은 월평균 약 17만6,000원을 지출했지만 소득 최하위 계층 자녀 중 성적 하위 20%에 포함된 학생은 약 1만2,000원으로 15배 이상 차이가 났다.

작년 영어 사교육비의 전체 규모 6조3,000억원 가운데 초등학교가 2조8,000억원으로 가장 많고 중학교가 2조2,000억원, 고등학교가 1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양 교수는 “수능 영어의 절대평가 도입이 초등학교, 중학교의 영어 사교육비 지출을 얼마나 줄일지 판단하기 쉽지 않다”고 분석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