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20ㆍ30대 3명 중 2명 "국민연금 노후준비 효과 없다"

■ 현대硏 복지 세대간 인식차 조사<br>50대이상 58% "만족스럽다"<br>30대 54% "미래복지 줄어들 것"


현재 복지 수준에 대해 50대 이상은 절반 이상(57.8%)이 만족하는 반면 20대는 3명 중 1명(34.1%)만 잘 갖춰졌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30대는 3명 중 2명이 국민연금이 노후준비에 효과가 없다고 봤다. 군인ㆍ공무원ㆍ교원연금의 적자를 세금으로 막으면 안 된다는 의견은 82.8%로 압도적이었다.

14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복지에 대한 세대 간 인식 차이 조사'에서 전국 성인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의 복지 수준에 대해 50대 이상은 57.8%가 만족스러워했지만 20대와 30대는 각각 34.1%, 35.1%에 머물렀다. 장후석 연구위원은 "50대 이상은 과거 어려웠던 상황을 떠올려 현 복지 수준을 상대적으로 높이 평가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젊은 세대는 특히 미래에 복지가 줄어들 것을 걱정했다. 지금보다 복지가 줄어들 것으로 생각하는 응답자의 비중은 44%였는데 특히 30대(53.8%)의 불안감이 두드러졌다. 젊은 세대는 세금을 많이 내더라도 복지혜택을 받고 싶어 했다. 세금을 더 내도 복지를 받고 싶다는 응답이 50대 이상은 53.2%에 머물렀지만 20대(60.3%), 30대(65.3%), 40대(65%)는 60%를 웃돌았다.

노후준비 수단으로는 국민연금이 22.5%로 1위를 차지했지만 젊은 세대의 국민연금에 대한 기대치는 낮았다. 국민연금이 노후대비책으로 효과가 없다는 답변이 과반 이상(52.2%)인 가운데 20대(61.7%)와 30대(65.3%)는 높은 불신을 보였다. 장 연구위원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국민연금의 노후대비 효과성에 대한 인식 전환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군인ㆍ공무원ㆍ교원연금은 적자보전을 위해 세금을 투입하기보다 수급 시기나 연금액 조정을 통해 문제를 자체 해결해야 한다는 응답이 82.8%로 많았다. 3대 연금과 관련된 사람들이 있는 가구 역시 자체 해결(73.5%)을 주문했다.


이연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