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鄭총리 교체냐 유임이냐

정 총리 교체 여부 따라 개각 폭ㆍ시기 결정될 듯


이명박 대통령이 단행할 개각과 관련해 한동안 물밑으로 가라앉았던 정운찬 국무총리 거취가 이번 주 정치권의 최대 이슈로 다시 떠오를 전망이다. 지난 주 청와대 참모진 개편과 한나라당 지도부 교체가 마무리 됨에 따라 7ㆍ28 재보선 직후로 점쳐지는 개각의 틀을 잡기 위해서는 정 총리 거취 문제가 우선 정리돼야 하기 때문이다. 18일 여권 일각에서는 이 대통령이 개각을 최대한 빨리 마무리 해 집권 후반기 국정을 이끌기 위한 동력을 정비할 것이란 주장이 나오고 있다. 박근혜 전 대표와의 회동을 추진하는 것도 이 같은 움직임과 궤를 같이 한다는 관측까지 나온다. ‘인적 쇄신’ 효과 극대화를 위해 박 전 대표와의 자리에서 원칙적이나마 개각에 대한 의견 교환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정 총리 교체, 인적 쇄신의 ‘정점’=가장 큰 관심사는 정 총리 교체 여부다. 여권에서는 정 총리가 이미 사의를 표명한 만큼 조기 레임덕을 막고 안정적인 집권 하반기 국정 운영을 위해 교체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정 총리 교체가 인적 쇄신의 ‘화룡점정’이 될 것이란 이유에서다. 만약 정 총리가 교체된다면 후임 총리는 ‘화합형’ 인물이 유력하게 검토될 전망이다. 그러나 ‘세대교체형’도 배제할 수 없으며, 두 스타일의 ‘융합형’ 인물도 선택 가능한 카드란 분석이다. 또 안상수 한나라당 대표가 취임 일성으로 주문한 정치인 총리 임명도 차기 총리 발탁의 중요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기류에 편승해 정 총리가 이번 주 재차 자신의 거취와 관련해 직ㆍ간접적으로 입장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가시적 입장 표명이 없더라도 이 대통령과 정 총리간 독대를 통해 내부적으로 정리가 이뤄질 수도 있다. ◇정 총리 유임, 부담 덜고 힘 실을 듯=정 총리 교체가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후임 총리를 물색하는 과정도 험난 하거니와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야 하는 부담도 상당하다. 여기에 ‘유임론’의 근거가 자리하고 있다. 정 총리가 유임되면 상황은 180도 달라진다. 이 경우 이 대통령은 어떤 식으로든 정 총리에 상당한 힘을 실어줄 것으로 보인다. 그 동안 ‘교체냐 유임이냐’로 말이 많았던 만큼 이 대통령의 직접적인 표현을 통한 재신임은 물론 정 총리에 내각 추천권 부여하는 것 등이 예상할 수 있는 시나리오다. 이는 정 총리로 하여금 이제는 세종시 문제에서 벗어나 지방선거 이후 난관에 봉착해 있는 4대강 사업과 같은 국책사업이나, 총리 본인이 강조하고 있는 ‘3화 정책(대학자율화ㆍ고교교육 다양화ㆍ학력차별 완화)’, 그리고 민간인 불법 사찰 의혹으로 불거진 총리실 조직개편 등의 굵직한 현안들을 제대로 챙기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결국 개각작업이 마무리되기 위해서는 어떤 방식으로든 이번 주 내에 정 총리 거취 문제부터 정리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