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남북정상회담] 한국 신용등급 즉각 상향은 힘들듯

■국제 신용평가사 시각<br>무디스등 3社“북측 움직임 좀더 지켜봐야” 신중<br>정상회담서 평화체제 구축등 결실땐 빨라질수도

국제 신용평가회사들은 남북 정상회담이 우리의 안보위험을 완화시켜줄 것으로 평가하면서도 국가 신용등급의 상향 조정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했다. 8일 증시는 정상회담 호재로 주가가 급등, 6거래일만에 1,900선을 넘었다. /조영호기자


제2차 남북정상회담이 우리나라 국가 신용등급을 외환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는 도약대가 될지에도 국내외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일단 무디스ㆍ스탠더드앤드푸어스(S&P)ㆍ피치 등 세계 3대 신용평가사는 남북정상회담 개최에도 불구하고 “신용등급 상향 계획은 없다”며 관망세를 나타냈다. 정상회담이 얼마나 실질적인 성과를 이끌어내고 북측이 이를 성실히 이행할 토대가 마련될지 좀더 지켜보겠다는 모습이다. 하지만 지난달 말 무디스의 신용등급 상향 이후 지난 2005년 무디스보다 한발 앞서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을 올렸던 S&P와 피치에 성공적인 남북정상회담은 국가신용등급 상향 조정의 촉매제가 될 것이란 분석이다. ◇3대 신용평가사 일제히 ‘관망’=국제 신용사들은 이달 28일부터 30일까지 평양에서 개최될 남북 정상회담이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 상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며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지난달 말 3개 신용평가사 중 가장 뒤늦은 5년 만에 한국의 신용등급을 상향 조정한 무디스는 이번 정상회담이 한국의 신용등급에 영향을 줄 것인지 고려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입장이다. 무디스는 북핵 등 우리나라의 안보문제를 3대 신용평가사 중 가장 까다롭게 보면서 중요시하는 성향을 보이고 있다. 토머스 번 무디스 부사장은 “정상회담이 한국의 신용등급에 미칠 영향에 대한 의견을 묻는 것은 성급하다”며 “정상회담이 열리고 난 후 경제와 재정, 지정학적 의미 등에 대한 추가 정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S&P도 남북정상회담 개최가 한국 국가 신용등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밝혔다. 오가와 다카히라 S&P 애널리스트는 정상회담 개최와 한국 신용등급의 영향에 대해 “남북정상회담이 정치적으로 주요한 이슈인 것은 맞지만 국가 신용등급을 올리고 내리는 데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말했다. 피치 역시 남북정상회담이 한국이 처한 안보위험을 완화시켜줄 것으로 기대하면서도 당장 국가 신용등급의 상향 조정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성공적 남북정상회담, 신용등급 상향 촉매제될 듯=정상회담 개최 사실만으로 국가 신용등급의 상향을 고려할 수 없다고 하지만 국제신용평가사들이 정상회담의 의미를 낮춰 보는 것은 아니다. 피치의 제임스 매코맥 아시아ㆍ태평양 신용담당 책임자도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는 것은 안보에 있어서 긍정적인 발전이고 고무적인 일”이라고 평했다. 특히 정상회담에 앞서 열릴 남북간 다양한 접촉을 통해 진전이 이뤄지고 정상회담에서 평화체제 구축과 경협 활성화 등 구체적 결실이 맺어지면 신용등급 상향 조정이 먼 일은 아닐 것으로 국제금융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당장 이달 말 S&P 관계자들이 우리나라를 방문해 연례협의를 가질 예정인데 이는 신용등급에 수정할 부분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무디스와 피치의 우리나라 신용등급이 외환위기 이전보다 한단계 낮은 수준이고 S&P는 두단계 낮음을 감안할 때 정상회담을 성공적으로 개최하고 그 의미와 성과만 잘 활용한다면 신용등급을 외환위기 이전으로 회복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재정경제부의 한 관계자는 “북측에 대해 국제신용평가사들의 신뢰가 낮은 편”이라며 “하지만 정부가 나서 정상회담의 성과뿐 아니라 북측의 의지를 충분히 전달해 태도변화를 이끌어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