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나라 내분 '빅딜說'로 증폭

'與와 행정도시-과거사법처리 밀약' 주장<br>朴대표 전면부인 불구 반대파 거센 반발

김무성 한나라당 사무총장이 4일 오전 강서구 염창동 당사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여야지도부간 빅딜설에 대한 강력 대응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홍인기기자

김무성 한나라당 사무총장이 4일 오전 강서구 염창동 당사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여야지도부간 빅딜설에 대한 강력 대응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홍인기기자

한나라 내분 '빅딜說'로 증폭 '與와 행정도시-과거사법처리 밀약' 주장朴대표 전면부인 불구 반대파 거센 반발김덕룡 원내대표 사표… 黨내갈등 새국면 김무성 한나라당 사무총장이 4일 오전 강서구 염창동 당사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여야지도부간 빅딜설에 대한 강력 대응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홍인기기자 행정도시건설특별법 통과를 둘러싼 한나라당의 내분이 갈수록 증폭되고 있다. 여야지도부간 '밀약설'이 4일 당을 흔든 데 이어 김덕룡 원내대표가 사표를 제출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반대파 의원들을 흥분시킨 것은 빅딜설. 정세균 열린우리당 원내대표의 3일 기자간담회에서 과거사법 처리를 4월로 미룬 배경을 설명하며 "행정도시법 문제를 원만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과거사법을 연기해주는 게 좋겠다는 요청이 있어 수락한 것"이라고 말한 게 파장을 낳았다. 말대로라면 박 대표가 먼저 딜을 요청해 왔다는 뜻이 된다. 정 원내대표는 특히 "앞으로 기회가 되면 박 대표를 비롯한 한나라당 지도부에 빚이라도 갚고 싶은 심정"이라고 말했다. 이는 그가 박 대표에게 일종의 부채 의식을 갖고 있다는 말로 실제 행정도시법-과거사법간 빅딜이 있었다면 4월 임시국회에서 과거사법을 다룰 때 우리당이 한나라당에 부채 상환의 의미로 개혁 법안을 양보할 수도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를 놓고 3일 오전 노회찬 민주노동당 의원이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개혁 입법 처리를 놓고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 사이에 밀약이 있었다"고 주장, 파장이 커졌다. 특히 행정도시특별법 통과에 반발하고 있는 일부 반대파 의원들이 이를 지도부 공격의 수단으로 적극 부각시키고 나서면서 빅딜설이 한나라당 내분의 골을 깊게 하는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는 형국이다. 사태가 악화되자 박 대표가 진화에 나섰다. 박 대표는 4일 이와 관련, "정 원내대표가 무슨 근거로 그런 발언을 했는지 따져보기 위해 법적 검토를 하겠다"고 강수를 꺼내 들었다. 가뜩이나 내홍이 심한 마당에 불필요한 외부 충격은 일찌감치 차단하겠다는 의도다. 한나라당 일각에서는 열린우리당이 한나라당 지도부를 곤경에 빠뜨리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사태가 확산되자 정세균 원내대표는 즉각 해명에 나섰다. 그는 이날 오전 당 집행위원회의에서 "여야가 (행정도시특별법에) 합의한 것은 22일이고 이어 23일 특별법안이 행정수도특위와 건설교통위를 통과했다"면서 "국회 본회의 안건을 논의하기 위한 여야 원내대표 회담은 28일에야 있었는데 시차의 선후관계로 미뤄 그런 주장은 맞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한나라당의 내분과 여야간 긴장관계까지 더해 냉기류가 흐르는 정치권은 오후 늦게 또 한차례 강풍이 몰아쳤다. 김덕룡 한나라당 원내대표가 사표를 낸 것. 김 원내대표의 갑작스런 사표제출에 대해서는 두 가지 해석이 나오고 있다. 박세일 의원 등이 의원직까지 내던지는 상황에서 원내대표의 사표로 당 내분을 봉합하려는 '구당적 희생'이라는 시각이 첫번째다. 다른 하나는 지도부 인책론이 제기되는 마당에 먼저 기선을 잡는다는 차원이라는 해석이다. 행정도시건설법 통과를 둘러싸고 수면 위로 드러난 당 내분은 박 의원의 의원직 사직, 원내대표의 사퇴로 이어지며 2개월여 남은 전당대회까지 한나라당내 세력판도를 뒤흔들 것으로 보인다. 김창익 기자 window@sed.co.kr 입력시간 : 2005-03-04 19:25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