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N이 운영하는 국내 1위의 포털사이트 네이버가 뉴스 서비스의 자체 편집을 중단하겠다고 지난 1일 선언했다. 그동안 포털들이 주요 뉴스를 선정해 편집함으로써 사실상 언론 역할을 하면서도 책임은 지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아왔던 점에 비춰볼 때 바람직한 조치로 평가된다.
같은 날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인터넷 포털 다음이 심의를 요청한 ‘광고주 협박’ 게시글 80건 가운데 58건을 위법으로 판정, 삭제 조치하도록 했다. 광고주들의 명단과 전화번호를 인터넷에 올리고 압박운동을 독려하는 것은 단순한 ‘표현의 자유’를 넘어 위법행위에 해당된다는 것이다.
전세계에서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가 가장 보편화됐고 이용인구 비중에서도 선두를 달리는 우리나라 포털에 무책임한 댓글이 난무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특히 사회적 의제를 왜곡하거나 익명을 무기로 일방적인 마녀사냥에 나서는 네티즌들을 마냥 내버려두는 것은 포털 스스로 사회적 책무를 저버리는 것이다.
특히 게이트 키핑 기능을 가진 국내 포털들이 선정적인 콘텐츠만 앞세워 방문객 수를 늘리는 데 골몰하는 것이야말로 인터넷의 역기능을 스스로 조장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그런 의미에서 인터넷 포털 다음에 뉴스 편집과 관련, 개편계획이 없다는 것은 아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국내 대형 포털들이 안고 있는 문제점은 결국 폐쇄성과 독점성에서 비롯됐다고 할 수 있다. 여기저기서 퍼온 불법복제 콘텐츠를 자사 사이트에 쌓아둔 뒤 네티즌들을 계속 가둬둠으로써 광고수익을 올리는 데 익숙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는 포털들도 ‘인기 검색어’ 순위에 광고성 키워드가 오르거나 특정 집단이 검색어를 조작하는 등 국민 여론을 호도하는 현실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
포털들의 자율적인 개방화정책와 함께 정부도 제도적 장치를 내놓아 인터넷에서 사이버 폭력 등이 사라지게 해야 한다. 명실상부한 인터넷 실명제와 명예훼손 등을 처리하기 위한 즉시신고 버튼 설치 등 다각적인 포털 개선책이 강구돼야 할 때이다. 사회적 책임 차원에서 인터넷 포털의 강력한 자기정화 노력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