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MLCC 제조기술 초박막ㆍ대용량 개발

휴대폰과 노트북PC, 디지털카메라, 캠코더, 멀티미디어 제품 등 각종 전기전자, 정보통신 기기에 사용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MLCC)를 고용량의 아주 작은 형태로 제작할수 있는 초박막 시트 제조공정이 개발됐다. 백운규 한양대 교수와 김종희 삼성전기 중앙연구소 연구위원은 1.2㎛ 크기의 초박막 시트를 제작하는데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콘덴서는 시트가 많이 겹쳐질수록 용량이 커지는 것으로 기존 시트의 두께는 3㎛에 그쳤다. 이는 일정 면적에 지금보다 더 많은 유전체를 쌓을 수 있어 고용량의 MLCC 개발이 가능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백 교수는 “나노 티탄산바륨(200nm BaTiO3) 세라믹 입자 분산 및 초박막 성형공정 기술을 적용, 초박형 고용량 MLCC 제조기술을 확보했다”며 “빠른 시간 내에 양산화를 위한 기술이전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MLCC는 휴대폰, 노트북 등의 휴대형 가전기기와 캠코더, 디지털카메라, DVD 등 디지털 AV기기, PC 주변기기 등 각종 전기전자 정보통신기기에 사용되는 핵심부품이다. 제품의 소형경량화에 따라 MLCC도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세계 MLCC 시장규모는 2005년 20조원, 국내 시장규모는 4조원에 달하고 있다. <조충제기자 cjcho@sed.co.kr>

관련기사



조충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