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MB '천안함 외교' 보폭 넓히기

亞 안보회의 참석 협력요청<br>천영우 차관 美로 출장보내

이명박 대통령이 천안함 사태와 관련된 유엔의 대북제재를 이끌어내기 위한 '천안함 외교'의 보폭을 넓히고 있다. 이 대통령은 31일 오후 청와대에서 짐 웹 미국 상원 외교위 아태소위원장을 접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대북결의안을 채택하는 문제를 협의했다. 웹 소위원장은 지난주 미국 의회가 한국 정부의 천안함 조사결과를 지지하며 북한을 규탄한다는 내용의 대북 결의안을 채택하도록 주도한 인물이다. 그는 이날 이 대통령을 예방한 자리에서 국제사회가 북한을 효과적으로 제재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동참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했고 이 대통령은 전날 폐막한 한중일 정상회의에서의 천안함 논의 결과 등을 설명하고 미국의 적극적인 협조 의사를 재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통령과 정부는 앞으로도 '천안함 외교'를 전면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이 대통령은 오는 6월4일부터 이틀간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샹그릴라 대화(아시아 안보회의)'에서 개회 기조연설자로 나서 최근의 한반도 정세를 설명하고 대북 제재를 위한 국제 사회의 협력을 요청할 예정이다. 박선규 청와대 대변인은 "천안함 사태는 남북문제뿐 아니라 국제사회 전체의 문제"라며 "천안함 사태 이후 우리 정부는 총력 외교전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샹그릴라대화 등의 일정이 이 같은 우리 정부의 외교적 노력으로 연결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외교부도 천영우 외교통상부 제2차관이 이날 미국으로 출국하는 등 '천안함 외교전'을 강화하고 있다. 천 차관은 6월4일까지 미국에 머물면서 워싱턴에서 제임스 스타인버그 미 국무부 부장관을 비롯한 주요 인사들을 만나 천안함 사태의 유엔 안보리 회부 등 현안에 대해 협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천 차관은 아울러 뉴욕을 방문, 유엔 관계자들을 만나 천안함 대응과 관련한 협조를 요청하는 한편 코리아소사이어티가 주관하는 행사에 참석해 마크 민턴 신임 회장과도 만날 것으로 전해졌다. 러시아의 해군 전문가들이 31일 천안함 사태에 관한 한국 정부의 조사 결과를 검토하기 위해 방한하는 등 러시아와의 '천안함 공조'에서도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알렉세이 브로다브킨 러시아 외교부 차관은 "천안함의 잔재와 파편 등 모든 가능한 자료들을 조사해 사실을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 해군의 전문 기술진이 한국에 파견된다"며 "이들이 귀국한 후 조사결과를 보고하면 러시아 정부 차원에서 이를 면밀히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에 앞서 지난 24일 대국민담화 발표를 전후로 미국ㆍ러시아ㆍ일본ㆍ호주 등 아시아ㆍ태평양 지역 강대국 정상들과 잇따라 전화통화를 가진 데 이어 28일에는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와 회담을 갖고 천안함 후속조치를 집중 협의했다. 또 29일에는 하토야마 유키오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을 통행 굳건한 공조를 재확인했으며 30일에는 한중일 정상 공동언론 발표문을 통해 3국이 천안함 사태에 대해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적절하게 대처한다는 합의를 이뤄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