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근로자 47% "노조 정치활동은 노조간부 위한 것"

대한상의, 300명 설문


근로자 절반 가까이가 노동단체의 정치활동을 노조 간부의 개인적 이익을 위한 것으로 인식하는 등 최근의 정치적 행보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근로자 300명을 조사한 결과 노동단체의 정치활동이 ‘노조 간부의 개인적 이익을 위한 것’이라는 답변이 47%에 달했다고 13일 밝혔다.

‘전체 근로자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고 보는 근로자는 52%로 가까스로 절반을 넘었다.


또 ‘노동단체와 정당 간 통합이나 노동단체 대표의 정당지도부 겸임이 노조의 자주성을 침해한다’고 답한 비율이 전체의 53.0%였다고 13일 밝혔다. 자주성을 침해하지 않는다는 답은 47%였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박종남 대한상의 상무는 “상당수 근로자가 노동단체의 최근 정치 행보에 부정적인 의견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며 “노조는 정당과는 존재 이유가 다르므로 본분을 지켜 근로자의 이익을 추구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바람직한 노조의 정치활동 형태에 대해서는 ‘정당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정책건의·입법청원 등을 통해 노동계 입장을 반영하는 것이 좋다’는 답이 절반(57.3%)을 넘었다.

이어 노동계 입장을 지지하는 정당ㆍ정치인의 개별적 지지(29.3%), 특정정당에 대한 배타적 지지(6.3%), 노동단체와 정당 간의 통합(3.7%) 등의 순이었다.

또 ‘노동단체 간부가 정당의 고위당직을 맡거나 공직후보자로 출마하면 노동단체 간부직을 사퇴해야 한다’는 응답은 89.3%로 나타났다.

사용자로부터 노조전임자 임금을 다시 받아야 한다는 노동단체의 요구가 부당하다는 응답은 65.0%로 나타났다.

박태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