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카드사 해외자금조달 본격화

삼성 5억불4·국민 3억弗 잇따라 성공 신용카드사들의 해외 자금조달이 본격화되고 있다. 26일 신용카드 업계에 따르면 삼성ㆍ국민ㆍLG 등 주요 신용카드사들이 최고 5억 달러에서 3억 달러 규모의 해외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에 성공하거나 적극 추진중이다. 삼성카드는 27일 일본 도쿄에서 소비자금융자산(카드론)을 담보로 한 대규모 해외ABS을 발행, 5억 달러를 조달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삼성카드의 해외ABS 발행은 ING 베어링을 주간사로 해 이루어 지며 세계최대 보증보험사인 미국 MBIA사로부터 지급보증을 받았다. 이 사장은 "이번 해외ABS발행으로 가계대출 증가 및 신용불량자 급증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면서 자사가 보유하고 있는 소비자 금융자산의 건전성을 국제금융 시장에서 인정 받은 쾌거" 라며 "특히 스탠다드 앤 푸어스(S&P)와 무디스로부터 최우량 등급(AAA)을 획득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삼성카드의 해외 ABS는 자산교체 방식을 통해 5년 만기로 발행되며 조달금리는 6.22% 이다. 국민카드 역시 27일 미국 시카고에서 뱅크원(Bank One)사와 현금서비스 이용대금 채권을 대상으로 3억 달러 규모의 해외ABS 발행 계약을 체결한다. 이번 해외ABS 발행은 외부기관의 보증 없이 자체 신용만으로 이뤄지며 조달금리는 원화확정 금리로 연 5.3%의 수준이다. 국민카드는 이번 국제금융시장 진입을 계기로 중장기 자금 조달원의 다변화와 보다 유리한 조건의 외화자금 조달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LG카드도 자금조달 비용의 절감, 자금조달 재원의 다변화, 외화조달 기반구축 등을 위해 상장 직후인 11월 중순 5억 달러 규모의 해외ABS 발행을 추진하고 있다. 신용카드 업계에 따르면 11월까지 여신전문금융회사들이 약 30억 달러의 해외ABS를 발행할 계획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여신 전문회사들이 영업확대에도 불구, 국내 자본시장의 수용능력이 미흡해 대형사를 중심으로 앞으로도 해외ABS발행이 더욱 늘어날 것"이라며 "다만 올 하반기와 같이 단기간에 외화ABS 발행이 집중될 경우 한국물 가격하락 등 부작용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발행물량 및 시기를 적절히 분산 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임동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