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산업] 中엔 가격에 밀리고 日엔 기술차로 고전

한국의 일류상품이 급감하고 있는 것은 일본과 중국 사이에 끼여 활로를 찾지 못하고 있는 한국경제의 실상을 여지없이 반영하는 것이다. 값싼 중국제품에 밀려 섬유류ㆍ신발ㆍ완구류 등 전통 수출산업에서 경쟁력을 상실 하고 일본이 장악 중인 고부가가치 상품시장에서는 기술 및 브랜드 격차로 고전하고 있다. ◇중국ㆍ일본 사이 '샌드위치'= 한국은 중국과 섬유ㆍ의류, 전기ㆍ전자, 정보기술(IT)기기, 정밀기계, 금속제품 부문에서 경합 중이다. 주력산업인 전기전자ㆍ자동차ㆍ일반기계ㆍ화학제품에서 경쟁상대는 일본. 모든 품목에서 일본ㆍ중국과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날이 갈수록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주력 수출품이었던 섬유ㆍ의류제품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지난 92년 7.4%에서 2000년 5.8%로 급감한 반면 중국은 섬유ㆍ의류 부문에서 전세계시장의 19.5%를 점유하고있다. 고부가가치 품목도 마찬가지다. 중국은 2000년 이미 반도체를 제외한 전기전자 부문의 수출 점유율이 한국을 추월했다. 새로운 활로를 찾는 길도 막막하다. 선진국의 견제와 투자부진 탓이다. 손 세원 대한상공회의소 경영조사팀 팀장은 “현재 한국 주요산업의 기술력은 선진국의 60% 수준에 불과하다”며 “정보ㆍ전자ㆍ통신 분야도 선진국과 약 2년6개월의 기술격차가 난다”고 말했다. 2000년 한국의 기술 수출액은 2억달러인 반면 기술 로열티 지급액은 30억달러에 달한다. 미국 퀄컴사에만 누계 2조6,000억원이 나갔다. ◇수출급증도 착시현상= 유일한 희망이라는 수출도 내용이 좋지 않다. 세계 일등상품 감소로 수출저변이 좁아진데다 반도체 등 특정 품목과 중국 비중이 지나치게 높아 대외여건이 바뀔 경우 채산성 악화 등이 우려된다는 것이다. 반도체ㆍ자동차ㆍ무선통신기기ㆍ컴퓨터ㆍ선박 등 5대 주력품목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2년 42.4%, 2003년 43%에서 올 1ㆍ4분기에는 44.8%로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중국에 대한 수출비중도 올 1ㆍ4분기 현재 18.5%로 2002년(전체)의 14.6%, 2003년의 18.1%에 비해 계속 높아지고 있다. 유병규 현대경제연구원 본부장은 “중국경제가 위기를 맞아 전체 아시아 경제가 하강할 경우에도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수출비중이 50%가 넘는 한국은 수출부진으로 성장에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표브랜드 없이는 성장 불가능= 세계에서 통하는 일류브랜드를 발굴하지 못할 경우 한국경제의 진로는 자명하다. 국민소득 2만달러 달성도 요원하기만 하다. IT기술과 첨단기술인력 등 우리의 강점을 살린 대표브랜드를 육성하고 국가적인 차원에서 적극 적인 수출마케팅을 추진하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손 팀장은 “개방화ㆍ글로벌시대에는 세계 일류상품을 얼마나 많이 개발할 수 있느냐가 국가경쟁력을 가늠하는 잣대”라며 “첨단기술을 세계 일류수 준으로 끌어올리는 동시에 디자인, 상품기획, 브랜드 개발 등 소프트 경쟁 력 향상을 위해 핵심사업에 모든 자원과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 다. ◇정부, 업계 손발 안 맞아= 정부도 대표브랜드 개발 필요성을 인식, 2001년 8월부터 시행한 ‘세계일류상품 발굴ㆍ육성제도’를 더욱 강하게 추진할 방침이다. 3월 말 현재 총 353개의 세계일류상품과 420개의 세계일류상품 생산기업을 선정한 상태. 기술ㆍ디자인 개발, 해외마케팅, 해외홍보 등 다각적인 지원체제를 갖출 계획이다. 오는 2010년까지는 세계시장 점유율이 10%를 넘어서거나 점유율 순위 5위안에 들어가는 세계일류상품을 1,000개로 늘린다는 게 목표다. 정부는 올해도 2회에 걸쳐 100여개의 세계일류상품을 추가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특 히 지금까지는 기업의 신청에만 의존했으나 올해부터는 기술개발 지원 품목 중 일류상품화 가능품목도 적극 발굴할 예정이다. 그러나 정부와 업계 사이의 협조체계가 미흡하다는 지적도 있다. 서로 합심해도 어려운 판인데 세계일류상품에 대한 인식이 다르고 통계도 제 각각 인 실정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대안은 없고 걱정과 구호만 있는 형국 ”이라고 말했다. 최형욱기자 chihuk@sed.co.kr , 최수문기자 chsm@sed.co.kr <저작권자ⓒ 한국i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최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