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 20년후 고령근로자 비율 '세계최고'

인구 늘어도 노동공급은 계속 감소

앞으로 20년뒤에는 우리나라의 고령근로자 비율이 전세계에서 가장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김원종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고용노동사회국 서기관은 3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발간한 'OECD 포커스'에 낸 기고문에서 OECD의 최근 보고서를 인용, 우리나라의 55세 이상 고령근로자 비율은 지난 2000년 16.1%에서 오는 2025년에는 28.6%로 수직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고 밝혔다. 이는 고령화사회로 가장 먼저 진입한 프랑스의 13%는 물론 세계에서 평균연령이 가장 높은 이웃 일본의 28.2%보다 높은 것이다. 보고서는 또 오는 2050년에는 우리나라의 고령근로자 비율이 31.1%에 달해 일본(32.1%)과 함께 노동력의 노쇠화가 심각한 수준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더욱이 지난 2000년부터 오는 2025년까지 우리나라의 인구는 11.2% 늘어나는 반면 총 노동공급은 오히려 7.2% 줄어 경제적 파급효과가 심각할 것으로 지적됐다고 김 서기관은 전했다. 그는 이밖에도 우리 정부가 연금, 의료비 등 고령화와 관련해 지출하는 재정규모가 지난 2002년 국내총생산(GDP)의 3.1%에 그쳐 OECD회원국 가운데 가장 낮기 때문에 앞으로 재정부담이 상대적으로 커질 것이라고 전했다. 김 서기관은 "선진국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각종 고령화대책을 수립, 시행해 왔다"며 "이를 교훈으로 삼아 (우리 정부도) 가급적 조속히 대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교육수준이 높은 건강한 고령인구층은 다양한 부문의 인력공급원이 될 수 있으므로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