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기업70% "일·가정 양립제도 실행 어렵다"

필요성 공감 90%

기업 10곳 중 9곳이 일ㆍ가정 양립제도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지만 실제로 시행할 의사를 갖고 있는 곳은 3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여성가족부가 전국 5인 이상 사업체 1,000곳의 인사대상자를 대상으로 일ㆍ가정 양립제도에 대해 조사(복수응답)해 내놓은 결과에 따르면 90% 이상이 유연근무제를 제외한 관련 지원 제도에 긍정적인 것으로 응답했다.


일ㆍ가정 양립 제도 가운데 임산부의 출산 전후 휴가와 배우자 출산휴가를 가장 필요한 제도(96.4%)로 꼽았으며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92.4%), 육아휴직(91.3%), 가족돌봄휴직(91.0%), 유연근무제도(78.1%) 순으로 필요한 것으로 응답했다.

반면 우수인력 확보 및 유지를 위해 일ㆍ가정 양립제도를 적극 실시하겠다는 의견은 30% 수준에 그쳐 기업들의 인식과 현실이 동떨어졌다.

적극 실시하겠다는 응답을 제도별로 보면 배우자 출산휴가(35.0%), 육아휴직(30.3%),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29.0%), 출산 전후 휴가(27.4%), 가족돌봄휴직(24.3%), 유연근무제(23.7%)였다.


기업들은 이런 제도에 대해 현실적으로 인력공백(46.5%), 급여지급과 대체인력 채용에 따른 비용증가(30.9%), 인사관리 어려움(12.9%) 등의 순으로 고충을 토로했다.

관련기사



기업들은 제도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가의 적극적 지원(54.1%)과 노ㆍ사ㆍ정 협력(19.4%), 노동시간 단축(13.4%), 업무효율화 및 생산성 제고(12.8%)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조윤선 여가부 장관은 "여성고용률 제고를 위해 가장 필요한 일ㆍ가정 양립제도를 적극 시행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민간 전문가, 기업 관계자, 관계부처 공무원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 실효성 있는 인센티브 발굴 등 가족친화적인 직장 문화 조성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정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