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세수 확보 위해 불가피" "해양 생태계 파괴 가속"

인천 앞바다 바닷모래 채취구역 확대 논란<br>市, 굴업·덕적도 일부 해역 추가 지정 움직임에<br>환경단체 "한강 모래톱 보존가치 높아" 반발


인천 앞바다의 바닷모래 채취구역이 확대될 전망이어서 해양생태계 파괴 논란이 불가피 할 전망이다.

인천시는 굴업도와 덕적도 일부 해역을 바닷모래 채취 구역으로 지정, 고시하기로 하고 지난 1월 인천지방해양항만청에 '해역이용협의서'를 제출했다고 18일 밝혔다.


인천지방해양항만청은 골재채취 예정지 지정이 적정한 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으며 보완사항이 없을 경우 이르면 이달 안으로 바닷모래 채취 가능여부를 시에 통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동안 인천 앞바다의 바닷모래 채취는 주로 옹진군 선갑도 해역(150개 광구)에서 진행됐다. 옹진군이 최근 인천시에 굴업도와 덕적도 해역 40.5㎢(15개 광구)를 해사채취 구역으로 지정해 달라고 요청했다.


바닷모래 채취 허가가 날 경우 향후 5년간 굴업도와 덕적도 북쪽 5㎞해역에서 해마다 1,000만㎥의 바닷모래 채취가 가능해 진다. 이럴 경우 향후 5년간 5,000만㎥의 모래가 굴업도 해역에서 사라지게 된다.

관련기사



해양생태계를 파괴하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바닷모래 채취 구역이 굴업도 해역까지 늘어날 경우 해양생태계 파괴를 둘러싼 반대여론이 확산될 전망이다.

인천녹색연합 관계자는 "인천 앞바다의 바닷모래는 단순히 건설용 골재가 아닌 세계적인 자연유산인 한강하구의 연안사주(Sand Shoal)"이라며 "무분별한 바닷모래 채취는 해양생태계 교란과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일으키는 대규모 환경파괴 사업"이라고 주장했다.

바닷모래 채취는 주로 서해 앞바다에서 이뤄져 왔으며 인천과 충남 태안에서 전국 해사 공급량의 90%가량을 공급하고 있다. 그 동안 선갑도 해역에서는 무려 2억5,000만㎥에 달하는 모래가 채취됐다.

옹진군은 세수 확보를 위해 해사 채취를 허가해줘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이 같은 바닷모래 채취로 인한 해안침식과 어획량 감소로 지역 어민들의 심각한 경제적 타격을 입고 있는 실정이다.

1991~1995년 인천 앞바다의 평균 어획량은 5만9,226톤 이었지만 1996~2000년 4만4,840톤으로 줄어들었고 2001~2005년에는 2만8,256톤으로 54%나 급감했다. 2006~2010년은 3만3,774톤으로 집계됐다.

인천 환경단체 한 관계자는 "인천 앞바다의 바닷 모래 채취 구역을 확대하면 해양생태계의 파괴를 앞당기고 장기적으로는 어업을 기반으로 하는 옹진군의 경제를 무너뜨리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