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쌀 생산량 7년만에 최저

올 3,440만~3,500만섬 예상올해 쌀 생산량은 태풍 피해 등의 영향으로 7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으나 여전히 연간 쌀 소비량(3,400만석)보다는 많을 것으로 전망됐다. 농림부 산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지난 9월15일 기준으로 전국 4,655개 표본필지를 대상으로 쌀 작황을 조사한 결과 올해 쌀 예상 수확량이 3,440만∼3,500만석으로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이는 평년(3,700만석)에 비해 5.4∼7%, 지난해(3,830만석)보다는 8.6∼10.2% 줄어든 것으로 지난 95년(3,260만석) 이후 7년만에 최저치다. 전국 평균 10a(302.5평)당 예상 수확량은 473∼483㎏으로 지난해(516㎏)보다 6.4∼8.3% 줄었으며 수해 및 태풍 피해가 심했던 강원, 전북, 전남, 경남 등의 감소폭(10∼14%)이 컸다. 이에 따라 내년도 쌀 재고량은 올해 생산량 감소에다 대북지원(280만석)물량을 감안할때 그리 큰 부담은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쌀 생산은 지난 96년이래 지난해까지 6년연속 3,600만석을 넘어서는 풍작을 기록했고 특히 지난해는 3,830만석이 생산되면서 올해 쌀 재고 과잉 문제로 이어졌었다. 김선오 농산물품질관리원장은 "올해 벼 재배면적이 2.8% 준데다 태풍 루사 피해로 생산량이 감소했다"며 "최종 생산량은 벼 수확이 완료되는 11월 중순께 확정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고광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