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기업 투자 부진에… 속 타는 아베

GDP 성장률 1%대 주저앉아<br>경상수지도 9개월 만에 적자로… 디플레 탈출 구상 물거품 우려


이달 말 취임 1년을 맞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속이 바짝 타들어가고 있다. '아베노믹스' 성패의 마지막 열쇠를 쥔 일본 기업들이 정부의 끊임없는 요청에도 좀처럼 돈을 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올 초 4%대로 치솟았던 경제성장률은 기업투자 부진으로 1%를 간신히 넘기는 수준으로 둔화됐고 엔저의 부작용으로 경상수지는 9개월 만에 대규모 적자로 돌아섰다. 아베노믹스에 대한 불안감에 기업들이 내년 임금인상마저 주저할 경우 일본의 디플레이션 탈출 구상은 물거품이 될 수 있다.


9일 일본 내각부는 지난 7~9월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수정치(연율환산 기준)를 당초 발표했던 1.9%에서 1.1%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이는 전문가들의 추정치(1.6%)도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이처럼 성장률이 급락한 것은 전분기 대비 0.2%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던 설비투자가 실제로는 정체된 것으로 드러나면서 성장률을 끌어내린 탓이다.

경상수지도 예상 밖의 적자를 기록, 성장률 둔화와 맞물려 아베노믹스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켰다. 이날 재무성이 발표한 10월 경상수지는 1,279억엔 적자로 돌아섰다. 엔저로 수입이 급증한 탓이지만 기업들의 해외생산 증가로 엔저에 따른 수출증대 효과는 상쇄되는 구조가 고착된 영향도 크다.


이처럼 한동안 날개를 단 듯 살아나던 일본 경제지표가 꺾인 것은 아베 총리가 구상하는 경기회복 시나리오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은 기업들이 선뜻 아베노믹스에 호응하지 않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엔저와 경제성장으로 수익을 낸 기업들이 임금인상 등 투자에 적극 나서면 가계소비가 살아나고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는 아베 총리의 구상이 기업의 투자정체라는 벽에 부닥친 것이다.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10월 1.1%를 기록하며 언뜻 디플레이션 탈출을 향해 순조로운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비치지만 정작 중요한 임금인상이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 내년 4월 소비세율이 인상되면 자칫 소비절벽에 직면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내년 증세를 앞두고 소비가 몰리면서 올해 말과 내년 초에는 GDP 성장률이 상승하겠지만 내년 4~6월 성장률은 -4.5%까지 급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분한 소득증대 없이 물가가 오르고 세금이 인상되면 이후 성장률이 회복되리라는 보장은 없다.

관련기사



이 같은 우려로 아베 정권은 4월부터 재계에 임금인상을 요구하며 기업들이 쌓아둔 총 220조엔 규모의 현금을 풀도록 설득해왔지만 실질임금은 여전히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아베노믹스의 성공을 자신하던 아베 총리의 태도에도 초조함이 묻어나기 시작했다. 그는 6일(현지시간)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임금인상이 극도로 중요하다"며 "도요타와 히타치 등 일부 기업들은 벌써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아베노믹스에 협조적인 특정 대기업을 지목함으로써 기업들의 임금인상을 독려하고 간접적인 압박 강도를 높이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하지만 아베노믹스 좌초에 대한 우려가 심심찮게 제기되는 마당에 기업들이 아베 총리의 '부름'에 얼마나 호응할지는 미지수다. SMBC닛코증권의 마키노 준이치 이코노미스트는 "기업들은 경제전망에 매우 신중한 입장"이라고 지적했다.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