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뇌경색 위험 예측하는 한국인 허혈 뇌지도 완성

국내 연구진이 공동연구를 통해 만성 뇌혈류 순환장애의 심한 정도를 누구나 객관적으로 참조할 수 있는 표준자료를 완성해 향후 뇌경색 발생 위험 및 예후 예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국가참조표준센터는 동국대 일산병원 김동억 교수팀, 분당서울대병원 배희준 교수팀을 포함한 전국 11개 대학병원과 ‘한국인 허혈 뇌지도’를 완성했다고 29일 밝혔다.


허혈 뇌지도는 만성적인 뇌의 혈류 순환장애로 인한 뇌 허혈 손상의 심한 정도를 등급화한 표준자료로 촬영된 MRI 영상과 비교하면 자신의 만성 허혈성 뇌손상이 우리나라 뇌경색환자 기준 ‘100명 중 몇 등’에 해당하는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허혈이란 혈류가 부족한 상태를 일컫는다.

관련기사



이번 참조표준 자료는 2011년부터 10개월간 전국 11개 대학병원에 ‘처음 생긴 급성 뇌경색’으로 입원한 2,699명 환자 전체를 대상으로 제작됐다. 약 6만장 분량의 뇌 MRI 영상을 하나씩 표준 뇌템플릿에 옮기고 환자 개개인의 뇌혈관 위험인자를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완성됐다.

한국인 허혈 뇌지도는 1~100 등까지 각각의 표준화 등수에 해당하는 만성 허혈성 뇌손상의 크기와 위치를 동시에 보여주는 참조 영상 자료를 제시해 준다. 특히, 연령대 별로 제공되는 허혈 뇌지도를 참조하면 만성 허혈성 뇌손상 관련 ‘뇌 건강나이’도 추정할 수 있게 된다.

한국인 허혈 뇌지도는 ‘한국인 뇌MR영상 데이터센터 홈페이지(brainmr.com)’를 통해 누구나 사용 가능하며, 필요로 하는 모든 병·의원을 대상으로 진료실 비치용 참조표준 도판을 배포할 예정이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국가참조표준센터 채균식 센터장은 “세계 최초로 완성된 허혈 뇌지도는 특히 한국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작된 만큼 우리나라 환자의 뇌졸중 진료에 특화된 표준”이라며 “생산단계에서부터 관리된 ‘의료 빅데이터’ 기반 참조표준으로써 국민 복지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