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코로마스펀드, 중도상환 요구

국내 59개 中企대상 해외 P-CBO 3억4,400만弗 <br>상당수 기업 자금확보 계획조차 없어 비상

코로마스펀드, 중도상환 요구 국내 59개 中企대상 해외 P-CBO 3억4,400만弗 상당수 기업 자금확보 계획조차 없어 비상 • 해당 中企들 자금압박 불가피 코로마스펀드가 국내 58개 중소ㆍ벤처기업에 3억3,000만달러 규모의 해외 프라이머리CBO 전액을 중도 상환하라고 요구했다. 현재까지 케이티씨텔레콤 등 일부 기업들은 중도 상환에 응했지만 상당수 기업들은 자금확보 계획조차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재정경제부의 중소기업지원방안으로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됐던 중소기업들이 다시 심각한 자금압박에 시달릴 것으로 우려된다. 14일 중소기업청 및 증권업계에 따르면 코로마스펀드는 지난 10일 해외P-CBO(상장ㆍ등록법인 34개 기업을 포함한 총 58개 중소기업에서 2001년 12월 발행)의 채권분 3억3,000만달러 전액을 조기 상환해줄 것을 공식적으로 요구했다. 코로마스펀드는 이에 앞서 2002년 P-CBO 중 신주인수권(BW)에 대한 권리를 행사해 주식으로 전환한 후 전량 장내에서 처분했다. 중진공의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이번에 중도 상환을 요구받은 P-CBO에서 기업들이 상환 가능한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 중”이라며 “전체 상환액의 상당 부분은 발행기업이 감당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이 경우 P-CBO 발행 보증기관인 산업은행ㆍ중소기업진흥공단ㆍ기술신용보증기금 등이 선순위채권의 부족액을 상환하고 발행기업들에 구상권을 행사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중기청 금융지원과의 한 관계자 역시 “해당 기업들이 중도상환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자금지원을 요청했지만 자칫 기업의 도덕적 해이를 부추길 우려가 있다”며 “P-CBO는 원칙적으로 발행사와 참여기관 등 당사자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언급, 추가 자금지원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강하게 시사했다. 한편 이번에 조기 상환 요구가 들어온 해외P-CBO는 2001년 중소기업청이 수출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발행한 것으로 이중 산업은행이 선순위채를, 중진공이 후순위채를 인수한 후 해외에 매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송영규 기자 skong@sed.co.kr 입력시간 : 2004-12-14 18:13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