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20년 산업 발전…환경 변화가 기회였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우리나라 산업이 지난 20년간 환경 변화를 기회로 삼아 성장해왔다고 분석했다. 연구소는 5일 '한국산업 20년의 발자취' 보고서에서 "한국은 현재 반도체.휴대폰.TFT-LCD 등 정보기술(IT)과 자동차.철강.조선 등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하고있다"며 "이는 디지털시대로의 전환, 신흥시장 부상 등의 기회를 선취하고 개발도상국의 추격과 선진국의 견재를 극복한 결과"라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아날로그-디지털 전환기에 산업계는 D램, LCD, CDMA(코드분할다중접속) 등 IT 분야에 대한 과감한 투자로 선진국을 추월했고, 정부 역시 세계 최고 수준의 IT 인프라를 구축했다. 또 냉전 체제 종식과 함께 부상한 중국, 인도 등의 신흥시장을 집중 공략, 현재높은 수준의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후발공업국의 추격은 산업 구조를 기술.자본 집약형으로 전환하고 디자인.품질등 비가격 경쟁력을 키워 따돌렸고, 선진국의 견제도 첨단 기술에 대한 도전적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해 극복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소는 이 같은 지난 20년의 성공에도 불구, 자유무역협정(FTA) 등 개방경제체제 확대, 급격한 원화절상, 원천기술에 대한 외국기업의 특허 공세 등을 고려하면 아직 한국 산업의 미래를 낙관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새로운 성장 분야를 발굴하고 부품소재 및 원천기술 등 기초 체력을 강화하며 규제개혁과 개방을 통해 경쟁을 촉진, 산업의 지속적 성장을 꾀해야한다고연구소는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