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몽준-홍준표, 대권-당권 분리 싸고 입씨름

한나라당 정몽준 전 대표와 홍준표 최고위원이 2일 국회에서 열린 연찬회에서 '대권ㆍ당권 분리'를 규정한 당헌당규 개정 여부를 놓고 설전을 벌였다. 현행 규정대로라면 대선주자는 대선 1년6개월 전에 당직을 사퇴해야 해 오는 6월 말~7월 초 전당대회에 출마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대선주자들도 당권에 도전해 힘있는 여당을 만들자'는 게 정 전 대표의 의견이고 그렇게 되면 '대선 공정경선을 해친다'는 게 홍 최고위원의 입장이다. 하지만 두 사람 주장의 이면에는 정치적 이해가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 전 대표로서는 박 전 대표가 당 대표를 맡더라도 리더십이 시험대에 오를 것이고 자신에게 기회가 돌아온다면 자기 목소리를 꾸준히 낼 기회라고 보는 듯하다. 반면 홍 최고위원은 차기는 박 전 대표를 밀고 차차기를 도모하겠다는 전략적 제휴를 모색하는 마당에 박 전 대표가 독배를 드는 것을 막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홍 최고위원은 이날 연찬회 도중 기자들과 만나 정 전 대표의 주장에 대해 "당권과 대권이 일치될 경우 내년 총선 지나고 대선으로 가면 국민 피로도가 높아져 절대 성공구도로 갈 수 없다"며 "조급함에서 비롯된 함진아비 정치"라고 비난했다. 그는 또 "당권을 쥔 사람이 대의원 선출에 유리할 수 있으니 경선 1년6개월 전에 사퇴하게 한 것"이라며 "일부 의원이 합치자고 주장하는 것은 경선이 필요없다고 하는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실제 대권-당권 분리규정은 제왕적 총재의 등장을 막으려고 지난 2005년 박근혜 대표 체제에서 제정됐다. 그러자 정 전 대표도 연찬회 도중 기자들과 만나 반박에 나섰다. 그는 "그런 식의 주장은 '여당은 계속 여당을 한다'는 주장과 마찬가지"라며 "당 대표 맡았으면 불공정 경선을 한다고 하는데 한나라당 구조는 대표가 프리미엄이 있는 것이 아니라 대표가 되면 더 부담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정 전 대표는 "대표만 경선에 못 나가는 것이 아니고 최고위원을 포함해 7명이 대선후보 경선에 나갈 수 없다"며 "어느 의원이든 선출직 당직을 맡았는데 그분이 후보가 돼야 좋다고 국민이 결정했을 때 당 내부 규정 때문에 못하면 그런 모순이 어디 있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