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노총각·노처녀 사망률 기혼자보다 6.3배 높아

보건사회硏 5,600명 조사

교육수준과 소득이 낮을수록, 비육체 노동자에 비해 육체 노동자가 사망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중간 정도의 신장과 마른 체형의 사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많고, 노총각ㆍ노처녀일 경우 사망 위험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4일 지난 98년도 국민건강ㆍ영양조사의 건강검진조사를 받은 대상자 가운데 30세 이상 남녀 5,607명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원에 따르면 대졸 이상 학력 소지자의 사망률을 1로 잡았을 때 ▦고졸 이상 1.30 ▦중졸 이상 1.42 ▦초등학교졸 이상 1.71 ▦무학 2.21로 무학의 사망률이 대졸자에 비해 2배 이상이었다. 또 월 가구소득이 250만원 이상일 경우 대비 사망률은 ▦200만-249만원 1.02 ▦150만-199만원 1.31 ▦100만-149만원 1.97 ▦50만-99만원 2.0 ▦50만원 미만 2.37로 각각 집계됐다. 비육체 노동자의 사망률이 1이라면 육체 노동자는 2.73에 달했다. 특히 기혼자에 비해 미혼자의 사망률이 6.31배나 됐으며 사별이나 이혼, 별거중인 사람은 1.77배 높았다. 신장(키)의 경우 장신을 1로 했을 때 단신은 1.4, 중간키는 1.55로 조사돼 중간키의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몸무게는 체질량지수(㎏/㎡)가 25~29.9㎏/㎡인 약간 뚱뚱한 사람이 1, 고도비만자가 1.39, 정상체중자가 1.73, 저체중자가 2.46으로 적당한 살집을 가진 사람의 사망률이 오히려 낮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